본문 바로가기
New 테크놀로지/헬스·바이오

[Ep.12] 고령자 돌봄 로봇 – 인간 대신 보살피는 기계

by 코시팅(K-Senior fighTing) 2025. 7. 17.
반응형

혼자가 되어도, 혼자가 아닌 일상

고령화 속도가 세계에서 가장 빠른 한국 사회.
돌봄 인력은 부족하고, 1인 고령가구는 급증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현실에서 ‘돌봄 로봇(Care Robot)’은
감정 케어, 생활 보조, 응급 대응, 사회적 교감까지 수행하는
AI 기반의 돌봄 파트너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 이제는 사람만이 사람을 돌보는 시대가 아닙니다.
로봇도 관심과 배려의 주체가 될 수 있습니다.

고령자 돌봄 로봇 – 인간 대신 보살피는 기계
고령자 돌봄 로봇 – 인간 대신 보살피는 기계

▣ 고령자 돌봄 로봇은 어떤 일을 할 수 있을까?

  1. 음성 기반 대화 및 정서 케어
    • “오늘 날씨 어때?” “약 먹을 시간이에요.”
    • AI 스피커 형태의 로봇이 일상 대화를 주도하며 고독감 완화
  2. 생활 보조 기능
    • 약 복용 알림, 스케줄 안내, 운동 유도, 정해진 루틴 실행
    • 인지 자극 프로그램과 연동해 치매 예방 효과
  3. 비상 상황 감지 및 신고
    • 낙상·무반응 등 비정상 상태 감지 시 즉시 보호자·응급센터 연결
    • 실시간 모니터링 및 영상 송출
  4. 원격 돌봄 서비스 연동
    • 가족·요양센터와 영상통화, 건강 모니터링 데이터 공유
    • 웨어러블 센서와 연동 시 정확도 향상

▣ 국내외 실제 사례

  • 일본 파나소닉 ‘리시보’   
    표정 인식 + 감정 대응형 대화로봇, 요양시설에 대규모 배치
  • LG전자 ‘케어봇’ 
    인공지능 기반 생활 안내 + 헬스케어 연동
  • 도요타 ‘휴마노이드 돌봄 로봇’  
    고령자의 물건 전달, 문 열기 등 실물 지원 기능 강화
  • SK텔레콤 ‘누구 케어콜’ 
    고독사 예방 AI 스피커로 노인정·지자체와 연계

▣ 핵심 기술 구성

  • 음성인식·감정 분석 AI
    → 사용자의 정서 상태 파악 + 적절한 대화 제공
  • 컴퓨터 비전 + 센서 네트워크
    → 낙상/움직임/무반응 상태 실시간 감지
  • IoT + 5G 통신
    → 실시간 원격 제어 및 가족/기관 간 데이터 연동
  • 자율 이동 및 간단한 조작 능력
    → 침대 옆 이동, 버튼 조작, 물건 전달 등 수행 가능

▣ 산업적 시사점과 수익 모델

항목 설명
급성장 배경 초고령화, 복지인력 부족, 독거노인 고독사 문제
수익 모델 로봇 판매, 구독형 렌탈, 지자체 보급형 B2G 모델
주요 ETF ROBO, BOTZ, HTEC, EDOC
확대 가능 분야 요양원, 자택 돌봄, 병원, 커뮤니티센터, 복지관 등
정책 연계 복지부·지자체 지원 사업과 결합 가능성↑

▣ 요약

고령자 돌봄 로봇은 기술이 만들어낸 또 하나의 가족입니다.
혼자 사는 어르신에게 대화 상대, 비서, 감시자, 보호자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며
삶의 존엄과 안전을 지키는 기술의 정수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