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New 테크놀로지/모빌리티·우주

[Ep.22] 위성인터넷(LEO) – 지구 전역 연결의 완성

by 코시팅(K-Senior fighTing) 2025. 7. 27.
반응형

더 이상 ‘통신 사각지대’는 없다

기존의 인터넷은 대부분 지상에 구축된 광케이블과 기지국에 의존합니다.
하지만 도서 지역, 산악 지대, 사막, 오지와 같은 환경에서는 인터넷 접속 자체가 불가능하거나 속도가 매우 느린 경우가 많습니다.

이러한 한계를 넘어선 기술이 바로 저궤도 위성인터넷, 즉 LEO(Low Earth Orbit) 위성 기반 통신입니다.
지구 어디에서나 끊김 없는 연결을 제공한다는
완전히 새로운 통신 인프라가 현실화되고 있습니다.

위성인터넷(LEO) – 지구 전역 연결의 완성
위성인터넷(LEO) – 지구 전역 연결의 완성

▣ 위성인터넷은 어떻게 작동하는가?

  1. 고도 500km에서 2,000km 사이의 저궤도에
  2. 수천 기의 소형 위성을 띄워 지구 전역을 덮습니다.
  3. 각 위성이 사용자 단말기와 직접 연결되어
  4. 실시간 인터넷 접속이 가능합니다.
  5. 위성 간에는 레이저로 데이터를 주고받으며
  6. 하나의 글로벌 메시 네트워크를 형성합니다.
  7. 지상 기지국 의존 없이
  8. 바다, 항공기, 군사 현장, 농촌 등에서 안정적 접속이 가능합니다.

▣ 기존 위성통신과 무엇이 다른가?

구분 정지궤도 위성(GEO) 저궤도 위성(LEO)
위성 고도 약 36,000km 약 500km ~ 2,000km
위성 수량 소수(3~5기) 수천 기 이상 필요
지연 시간 600~800밀리초 20~40밀리초 수준
주된 용도 위성방송, 위성전화 초고속 인터넷, IoT 통신
특징 넓은 범위지만 지연 큼 빠르지만 커버에 수량 필요
 

▣ 글로벌 서비스 현황

  • SpaceX의 스타링크는 현재 6,000기 이상의 위성을 띄웠으며
  • 북미, 유럽, 동남아시아 등 60개국 이상에서 상용 서비스 중입니다.
  • 아마존은 쿠이퍼(Project Kuiper) 프로젝트를 통해
  • 2025년부터 위성 3,000여 기로 본격 서비스에 돌입할 계획입니다.
  • 영국의 원웹(OneWeb)은 유럽과 아시아 커버리지를 중심으로
  • 통신사 제휴를 통해 사업을 확장하고 있습니다.
  • 한국의 한화시스템과 KT는 공동으로
  • 2027년부터 국내 위성인터넷 서비스를 목표로 KLEO망을 구축 중입니다.

▣ 어디에 쓰이는가?

  • 산간, 도서 등 인터넷 사각지대 연결
  • 항공기 및 선박 내 인터넷 서비스
  • 국방, 재난현장, 전시통신용 백업망
  • 아프리카, 남미 등 개발도상국의 인터넷 보급
  • 위성기반 IoT, 글로벌 자율주행 통신망

특히 위성과 스마트폰이 직접 연결되는
'Direct-to-Cell' 기술도 일부 지역에서 시범 적용되고 있습니다.


▣ 산업과 투자 시사점

항목 설명
핵심 기술 위성 간 레이저 통신, 초소형 위성 제작, 위성 위치 제어 알고리즘
수익화 구조 가입형 요금제, 단말기 판매, 공공기관·군수 계약
대표 기업 SpaceX, Amazon, OneWeb, AST SpaceMobile, 한화시스템
관련 ETF ARKX, UFO, IYW, QQQ
기대 효과 전 세계 어디서나 고속 인터넷 → 글로벌 생산성·교육·보안성 향상

 


▣ 요약

저궤도 위성인터넷은
지상 기반 통신 인프라의 물리적 한계를 뛰어넘는 기술입니다.

전 세계 어디서든 인터넷에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은
단순한 편리함이 아닌, 교육, 의료, 산업, 국방, 기후 대응까지
모든 사회 구조를 바꾸는 혁신입니다.
통신의 중심이 지상에서 하늘로 이동하고 있습니다.

이 흐름을 이해하는 것이
미래 연결 경제의 주도권을 잡는 출발점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