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유용한 생활정보/건강ㆍ심리

[심리 #9] 감정 표현이 너무 어려운 사람들을 위한 '말 연습법'

by 코시팅(K-Senior fighTing) 2025. 7. 25.
반응형

왜 감정을 표현하지 못할까?

  • “괜히 말 꺼냈다가 상처 줄까봐…”
  • “감정 표현하면 약한 사람처럼 보일까봐…”
  • “어릴 때부터 참는 게 미덕이라고 배웠어요.”

☞ 이처럼 두려움, 습관, 경험의 누적이 감정 표현을 어렵게 만듭니다.

감정 표현이 너무 어려운 사람들을 위한 '말 연습법'
감정 표현이 너무 어려운 사람들을 위한 '말 연습법'

▣ 표현하지 않으면 무슨 일이 벌어질까?

  • 감정은 억누를수록 심리적 부담으로 퇴적됨
  • 내면에 쌓인 감정이 다른 방식(예: 짜증, 무관심, 소외감)으로 왜곡되어 표출됨
  • 결국 자신도, 관계도 병들게 하는 악순환이 시작됩니다

▣ 말로 표현하는 연습이 중요한 이유

  • 감정은 말로 ‘표현’될 때 → 뇌가 이를 해석하고 안정시킴
  • 말로 설명할 수 없으면, 그 감정에 압도되기 쉬움
  • 표현은 단순한 기술이 아니라 내 감정과 친해지는 방법

▣ 감정 표현, 이렇게 시작해보세요

1. ‘나는 ~해서 ~한 기분이야’ 문장 구조 연습

  • “나는 (상황) 때문에 (감정)이야”

예: 나는 네가 내 말 자꾸 끊어서 화가 났어

비난 없이 나의 감정만 표현하는 안전한 구조


2. 감정을 분류해 말로 꺼내는 연습

  • 감정 단어 사전을 참고해 구체적인 언어를 선택

예: ‘짜증’ → ‘무시당한 느낌’, ‘기대가 어긋난 실망감’

  • 종이에 적거나 음성녹음으로 내 감정의 언어화 훈련

3. 혼잣말 연습부터 시작

  • 거울 앞, 샤워 중, 운전 중 등에서 혼잣말로 감정 묘사
  • 예: “오늘은 서운함이 컸어. 왜냐면…”
  • 이 습관이 상대에게 말로 전달하는 연습의 초석이 됨

4. 감정 표현 전 “시나리오 작성” 해보기

  • 내가 말하고 싶은 내용, 상대 반응 예상, 대화의 흐름 구성
  • 준비된 대화는 감정 폭발이 아니라 이해 기반의 소통이 됨

5. 말하지 못했을 땐 ‘감정 일기’로라도 기록

  • 말을 못한 감정은 반드시 다른 채널로라도 해소해야
  • 일기 → 나중에 말로 풀어낼 자료가 됨

▣ 이런 문장부터 연습해 보세요

  • “이런 말 하는 게 좀 어색한데, 그래도 말하고 싶어.”
  • “조심스럽지만, 내 마음을 한번 말해볼게요.”
  • “그땐 좀 속상했어요. 나도 그 감정을 정리 중이에요.”

▣ 마무리 노트

감정 표현은 내가 나 자신과 연결되는 방식이자
상대와 관계를 쌓는 다리입니다.

서툴러도 좋습니다.
조금씩 말할수록, 내 감정은 나에게 덜 낯선 것이 되어갑니다.


말하지 않으면 아무도 모릅니다.
그리고 감정은 알리는 순간부터 이해될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