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 테크33

[CEO 제12편] 장야친-AI는 과학이다, 산업이다, 그리고 교육이다 1. 마이크로소프트에서 바이두까지 – 글로벌 리더의 귀환장야친은 중국 출신의 세계적인 기술 리더입니다.MIT에서 전자공학 박사 학위를 받은 그는,30세에 마이크로소프트 리서치 아시아(MSRA)의 초대 소장이 되었고 수많은 AI 연구자들을 배출한 전설적인 리더로 불립니다.그가 이끈 MSRA는 AI 연구를 산업화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든 첫 조직 중 하나였으며 2000년대 이후 아시아권 AI 인재 양성의 핵심 거점이기도 했습니다.2014년, 그는 중국의 검색엔진 바이두(Baidu)로 자리를 옮겨 사장급 임원으로 자율주행, 음성인식, 지식그래프 등 핵심 AI 기술을 총괄합니다.2. AI의 철학: “기술은 인간을 이롭게 해야 한다”장야친은 AI를 과학으로 접근하되, 인간 중심으로 풀어야 한다는 신념을 가지고 있.. 2025. 7. 9.
[CEO 제11편] 마화텅-게임 제국의 두뇌, AI로 인간 감정을 읽다 1. 게임이 전부가 아닌 남자 – 텐센트의 설계자마화텅은 단순한 게임 기업의 CEO가 아닙니다.텐센트(Tencent)를 창업한 그는 중국 IT산업의 흐름 자체를 바꿔 놓은 인물로, 메신저 ‘QQ’부터 ‘위챗(WeChat)’, 그리고 텐센트 게임즈까지중국의 디지털 라이프를 설계한 조용한 전략가입니다.그의 스타일은 늘 소리 없이 강하게, 그리고 데이터 중심 사고로 일관되어 왔습니다.겉으로는 조용하지만 내부에서는 수천 개의 실험과 테스트를 통해 사용자 행동과 심리 패턴을 분석하고 예측하는 방식으로 회사를 성장시켜왔습니다.2. AI 전략의 전환점 – 데이터에서 감정으로텐센트는 게임 기업으로 알려져 있지만,사실은 중국 최대의 AI 연구 투자자 중 하나입니다.2016년부터 본격적으로 AI Lab을 설립하고,의료, .. 2025. 7. 8.
[CEO 제10편] 데미스 하사비스– 천재 체스소년, AI로 생명의 비밀을 풀다 1. 천재 소년의 시작, 체스와 뇌과학 사이에서데미스 하사비스는 단순한 과학자가 아닙니다. 10세에 영국 체스 국가대표가 되었고, 15세엔 이미 국제 마스터(IM) 자격을 보유한 천재 체스 소년이었습니다. 하지만 그는 체스를 넘어 인간의 사고 구조, ‘지능이란 무엇인가?’에 매료되었고, 이 질문이 그의 삶 전체를 이끌게 됩니다.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컴퓨터공학을, 이후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UCL)에서는 뇌과학(신경과학)을 연구하며 인공지능과 인간 뇌의 구조 사이에 놀라운 유사성이 존재함을 발견하게 되죠.2. 딥마인드의 탄생 – 뇌에서 배운 AI하사비스는 2010년 DeepMind(딥마인드)를 창업합니다.그의 철학은 단순한 딥러닝이 아닌, ‘인지 신경과학 기반의 AI’였고, 이는 곧 AI가 인간처럼 추론.. 2025. 7. 7.
[CEO 제9편] 마크 저커버그 – 메타버스와 AI로 미래 소셜을 설계하다 1. 인물의 성장 스토리: 하버드의 해커, 소셜 네트워크의 설계자마크 저커버그(Mark Zuckerberg)는 1984년 미국 뉴욕에서 태어나, 어린 시절부터 컴퓨터 프로그래밍에 몰두했습니다.10대 시절 자신만의 메신저 프로그램 'ZuckNet'을 만들었고, 하버드 대학교 재학 중 SNS의 원형인 '페이스매쉬', '더페이스북'을 개발하면서 소셜 미디어 혁명의 시작을 알렸습니다.그는 20대에 세계 최연소 억만장자가 되었지만, 단순한 SNS 사업에 머무르지 않았습니다. 페이스북(Facebook)은 인스타그램, 왓츠앱을 인수하며 글로벌 커뮤니케이션 플랫폼으로 성장했고, 2021년 회사명을 '메타(Meta)'로 변경하며 AI와 메타버스 기반의 차세대 플랫폼 기업으로 진화하고 있습니다."우리는 단지 더 많은 '좋.. 2025. 7. 6.
[CEO 제8편] 리사 수 – AMD의 부활과 AI 반도체 전략의 설계자 1. 인물의 성장 스토리: 이민자 출신 여성 엔지니어의 반도체 여정리사 수(Lisa Su, 수즈즈)는 1969년 타이완에서 태어나 미국 뉴욕으로 이민 온 후, 어린 시절부터 전자공학에 깊은 관심을 보였습니다. 고등학교 시절엔 아버지의 영향으로 반도체에 관심을 가졌고, MIT에서 전기공학을 전공하며 박사까지 마쳤습니다. 이후 IBM, Freescale 등에서 시스템 반도체와 SoC 설계 전문가로 활약하며 업계에서 두각을 나타냈습니다.2012년 AMD에 합류한 그녀는 2014년 CEO에 선임되며 몰락 위기에 있던 회사를 구조조정과 기술 혁신으로 완벽하게 부활시켰습니다. 그녀는 전략가이자 기술자이며, AMD를 AI와 데이터 중심 시대의 핵심 반도체 기업으로 탈바꿈시킨 인물입니다."기술의 진보는 사람들을 더 강.. 2025. 7. 5.
[CEO 제7편] 리드 헤이스팅스 – 창조적 알고리즘으로 콘텐츠 세상을 바꾸다 1. 인물의 성장 스토리: 수학 교사에서 글로벌 콘텐츠 리더로리드 헤이스팅스(Reed Hastings)는 미국 보스턴 출신으로, 수학을 전공하고 피스코 교육봉사단에서 아프리카에서 교사로 일하며 인생의 전환점을 맞았습니다. 이후 스탠퍼드 대학에서 컴퓨터공학 석사를 마친 그는, 1997년 '연체료 없는 DVD 대여 서비스'라는 발상으로 **넷플릭스(Netflix)**를 공동 창업하게 됩니다.당시만 해도 우편으로 DVD를 주고받는 작은 사업이었지만, 그는 기술과 알고리즘, 그리고 사용자의 '선택 경험'에 주목하며 회사를 끊임없이 진화시킵니다. 결국 넷플릭스는 스트리밍 플랫폼의 대명사이자, AI 기반 콘텐츠 추천의 선두주자로 자리매김하게 됩니다."소비자는 무엇을 볼지 모른다. 우리는 그들을 이해하고 대신 제안할.. 2025. 7. 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