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완전정복/부동산세금편10 [부동산세금 #4] 양도소득세 계산법 – 장특공제와 보유기간의 핵심 집을 팔면 생기는 세금, ‘양도소득세’양도소득세는 집값이 오른 만큼 벌었다고 간주해 과세하는 세금입니다.단순히 “집을 팔았으니 내는 세금”이 아니라,얼마나 오래 보유했는지, 실제 거주했는지에 따라세금 부담이 크게 달라질 수 있습니다.▣ 1. 양도소득세 계산 5단계 공식양도가액 – 취득가액 – 필요경비 = 양도차익 → 양도차익 – 장기보유특별공제 = 과세표준 → 과세표준 × 세율 = 산출세액 ☞ 세율은 6~45%까지 누진세율 구조이며, 고가주택 또는 다주택자는 중과세율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2. 장기보유특별공제(장특공제)란?일정 기간 이상 부동산을 보유하면,양도차익 일부를 공제해주는 제도‘보유기간 공제’ 또는 ‘보유+거주기간 공제’로 나뉩니다. 구분 적용대상 최대 공제율 .. 2025. 7. 13. [부동산세금 #3] 취득세는 언제, 얼마나 내나요? (실전 사례로 이해하기) 집을 사자마자 내야 하는 첫 세금, ‘취득세’집을 사면 등기하기 전 반드시 내야 하는 것이 바로 취득세입니다.“취득가의 1~3% 아니야?”라고 생각하신다면절반만 아신 겁니다.☞ 주택 수, 조정지역 여부, 법인 명의, 증여인지 매매인지에 따라 세율은 1.1%부터 13.4%까지 다양하게 바뀝니다.1. 기본 세율: 1주택자의 경우실거래가 6억 원 이하: 1.0%6억~9억 원: 2.0%9억 원 초과: 3.0%√ 여기에 지방교육세(0.1~0.3%)와 농어촌특별세 등이 붙어 실질 총세율은 약 1.1%~3.5% 수준2. 다주택자는 중과세율 적용 조정대상지역 여부 주택 수 취득세율 비조정지역2주택1~3% (기본)조정지역2주택8%조정지역3주택 이상12%법인 명의 취득전국12%※ 여기에 지방교육세 등 포함 시 총세율 .. 2025. 7. 12. [부동산세금 #2] 1세대 1주택 비과세, 조건 까다로운 이유는? 집 한 채만 있어도 세금이 나올 수 있다?많은 분들이 이렇게 생각합니다.“나는 집이 하나인데 왜 세금이 나와요?”☞ 핵심은 단순히 집 개수가 아니라 ‘요건 충족’ 여부입니다.‘1세대 1주택 비과세’는 3가지 큰 조건을 동시에 충족해야 적용됩니다.▣ 1. ‘1세대’의 정의부터 확실히 알아야세대란? 주민등록상 동일 세대 + 생계를 같이 하는 가족배우자, 미성년 자녀 포함 여부 중요세대원 중 한 명이라도 다른 주택 소유 시 ‘1세대’로 인정 안 됨☞ 부모님 집에 전입만 해도 세대 분리 안 되는 경우 있음√ 전입신고 + 생계 독립까지 갖춰야 세대 분리 인정▣ 2. ‘보유기간 + 거주기간’ 모두 충족해야 비과세 구분 요건 보유기간최소 2년 이상 보유 (비조정지역)거주기간조정대상지역은 2년 이상 실거주 필수√ .. 2025. 7. 11. [부동산세금 #1] 세금, 거래할 때마다 다르다? – 부동산 세금의 3단 구분법 왜 부동산 세금은 상황마다 달라질까?아파트를 살 땐 취득세,팔 땐 양도소득세,가지고만 있어도 보유세(재산세·종부세)가 나옵니다. “세금이 너무 복잡하다”는 말은 맞습니다.하지만 그 복잡함도 기본 구분법 하나면 깔끔하게 정리됩니다.▣ 1. 취득할 때 – ‘취득세’ 중심의 초기 비용부동산을 살 때 내는 대표 세금취득금액, 주택 수, 지역, 계약 형태 등에 따라 세율 달라짐√ 기본세율은 1~3%이나, 다주택자 또는 법인 매수 시 최대 13.4%까지 증가예시)무주택 세대의 생애최초 주택 구입 → 감면 혜택 가능조정대상지역의 2주택 보유자 → 중과세 적용▣ 2. 보유할 때 – ‘보유세’라는 이름의 정기 비용 세목 주요 내용 재산세매년 6월 1일 기준 보유자에게 과세 (지자체 부과)종합부동산세일정 기준 이상(공시.. 2025. 7. 10. 이전 1 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