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동산 완전정복/단지내상가편

[단지내상가 #7] 유치권, 전대차, 불법용도변경… 법적 리스크 점검

by 코시팅(K-Senior fighTing) 2025. 7. 15.
반응형

이런 법적 리스크, 투자자들이 놓치기 쉽습니다

"권리금까지 주고 상가 인수했는데, 나중에 보니 불법 증축이라 영업정지 당했습니다."
"좋은 자리에 싸게 나왔길래 샀는데, 알고 보니 유치권 행사 중이었습니다."

단지 내 상가는 안정적으로 보이지만,
매입 전 법적 리스크 확인은 필수 절차입니다.

유치권, 전대차, 불법용도변경… 법적 리스크 점검
유치권, 전대차, 불법용도변경… 법적 리스크 점검

1. 유치권 – 공사대금 미지급 시 발생하는 점유 권리

  • 정의: 공사업체가 공사비를 받지 못했을 경우,
     상가에 대해 **점유권(출입 통제 등)**을 주장할 수 있는 권리
  • 발생 시점: 주로 분양 직후 또는 건설사 자금 문제 발생 시
  • 위험 요소: 매입 후 실제 사용이 제한될 수 있음

√  등기부등본과 별개로 확인 필요.
현장 점검과 분양사 시공사 확인 필수


2. 전대차 – 세입자가 다시 세입자를 들인 구조

  • 정의: 원 임차인이 무단으로 다른 사람에게 재임대한 상태
  • 문제점: 전차인은 건물주와 법적 관계가 없어
     ☞ 임대차 계약 갱신·보호 대상이 아님

√  매입 전, 반드시 현 임차인의 지위가 ‘원 임차인’인지 확인해야 함
√  임대차계약서 원본 및 최근 갱신 이력 확인 필요


3. 불법용도변경 – 건축물대장과 다른 실제 용도 사용

  • 사례:
     - 근린생활시설인데 음식점으로 운영 중
     - 창고로 등록된 공간에 상가 영업을 진행 중
  • 위험 요소:
     → 지자체 점검 시 이행강제금 부과, 영업정지, 철거 명령 발생 가능
     → 특히 화재보험 미적용 및 위생·소방 기준 미충족 위험 존재

√  건축물대장, 허가용도, 현장 운영 상태 비교 필수


간단하지만 실전에서 유용한 확인 리스트

항목 체크포인트
유치권 건물주·시공사 간 미분쟁 여부, 현장 점유 여부
전대차 계약 당사자와 실제 영업 주체 일치 여부
불법용도 건축물대장 및 용도 확인, 실제 운영 상태 비교
계약 전 ‘법적 권리관계’ 파악이,
물건 자체보다 더 중요한 투자 성공 요건입니다.

한 줄 정리

☞ “법적으로 깔끔하지 않은 상가는, 아무리 싸도 독이 될 수 있다.”
계약 전, 변호사나 법무사 상담도 하나의 투자 비용으로 생각하세요.


다음 콘텐츠는
[단지내상가 #8] 분양형 상가 계약서 체크리스트 (실전 조항 해설)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