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동산 완전정복/단지내상가편

[단지내상가 #8] 분양형 상가 계약서 체크리스트 (실전 조항 해설)

by 코시팅(K-Senior fighTing) 2025. 7. 16.
반응형

계약서 내용은 ‘단지의 미래’와 직결됩니다

"계약할 땐 문제없다 했는데, 나중에 보니 상가구획이 바뀌었네요."
"관리비 부과 기준이 이상해서 계속 분쟁이 납니다."

☞ 단지 상가는 공동구조물인 만큼,
상가별 권리, 분담, 책임 조항이 명확해야 분쟁을 피할 수 있습니다.

분양형 상가 계약서 체크리스트
분양형 상가 계약서 체크리스트

체크리스트 ① 분양면적과 전용면적 비율

  • 전용면적: 실제 사용할 수 있는 면적
  • 공용면적: 계단, 복도 등 공유 공간 포함

√ 전용률이 40% 이하라면 과도한 공용 부담 구조일 수 있음
☞ 계약서에는 반드시 정확한 면적표 기재 여부 확인


체크리스트 ② 임대차 관련 조항 존재 여부

  • 일부 분양계약서에 임대 우선권, 세입자 계약 제한 조항이 포함됨
  • 조기 수익화 시도 차단 요소로 작용할 수 있음

√  “계약 후 즉시 임대 가능” 여부를 문서로 명확히 해야 향후 공실 위험 대응 가능


체크리스트 ③ 하자 보수 및 AS 관련 조항

  • 준공 이후 일정 기간 내 발생한 하자 범위와 처리 절차 명시 여부
  • 하자 시점의 인정 기준과 비용 부담 주체가 중요

√  “입주자대표회의가 결정한 사항에 따라 처리”라는 문구 주의
공식 AS 프로세스 및 기한 명시 확인 필요


체크리스트 ④ 관리비 및 공용부 부담 구조

  • 난방, 청소, 경비 등 관리 항목별 산정 방식이 애매할 경우
     → 입주 후 불투명한 관리비 문제 발생 가능

√  "건물 연면적 기준" vs "전용면적 기준" 등 기준을 확인
공용부 공사비 분담 항목이 누락되어 있다면 추가 분담 우려


체크리스트 ⑤ 상가 용도와 업종 제한 조항

  • 중복 업종 제한, 특정 업종 배제 등은
     상가 운영 유연성을 제한할 수 있음

√  예) "한 라인에 2개 이상의 카페 입점 금지" 등
입점 업종과 계획이 있다면 필히 사전 검토


실전에서 자주 나오는 분쟁 사례 정리

사례 원인대응 전략
층간 누수 하자범위 불분명 하자 보증기간 및 대상 명확히
업종 분쟁 업종 제한 규정 누락 계약서 업종 가능 항목 확인
관리비 급등 기준 불투명 관리비 산정 기준 확인 필수

한 줄 정리

☞ “계약서는 단지 상가 투자에서 가장 강력한 무기이자 방패입니다.”
내용을 이해하지 못하고 서명하는 건, 투자한 돈을 남에게 맡기는 것과 같습니다.


다음 콘텐츠는
[단지내상가 #9] 단지 상가 입점 전략 – 업종, 타이밍, 배치 노하우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