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동산 완전정복/단지내상가편

[단지내상가 #10] 실제 사례로 본 성공한 단지 상가 vs 실패 사례 비교

by 코시팅(K-Senior fighTing) 2025. 7. 18.
반응형

성공과 실패를 가른 건 ‘타이밍과 분석력’이었다

분양가도 비슷했고, 입지도 큰 차이가 없었지만
한 곳은 권리금이 붙고 임대수익이 안정적,
다른 한 곳은 공실이 이어지고 임대료가 하락했습니다.

그 차이는 무엇이었을까요?

실제 사례로 본 성공한 단지 상가 vs 실패 사례 비교
실제 사례로 본 성공한 단지 상가 vs 실패 사례 비교

성공 사례 ① – 경기 고양시 A아파트 단지 상가

구분 내용
입점 시기 입주율 60% 시점에서 맞춰 입점
업종 유아용품점 + 키즈카페 (30대 중심 단지 타깃)
위치 놀이터·커뮤니티센터 맞은편 1층
마케팅 입주 전부터 맘카페·단지 밴드에서 노출
핵심 포인트: 고객 분석 + 생활동선 중심 입지 확보 + 조기 인지도 형성
→ 개장 2개월 만에 흑자 전환, 현재는 권리금 4,000만 원 형성

실패 사례 ① – 인천 남동구 B아파트 단지 상가

구분 내용
입점 시기 입주 전 선착순 입점 진행
업종 브랜드 커피전문점
위치 단지 정문이 아닌 후문 방향, 유입 동선 약함
마케팅 없음 (배달 플랫폼 중심 운영만 진행)

문제점: 유동인구 흐름 분석 없이 선착순 입점만으로 결정
→ 6개월간 공실 이후 임대료 인하 반복


성공 사례 ② – 세종시 C아파트 복합상가

구분 내용
입점 시기 입주율 70% 이상 시점 타깃
업종 실버 전문 의원 + 약국 조합
위치 커뮤니티센터 옆, 어린이 놀이터 근처
전략 단지 건강검진 연계 제휴 구축
√  핵심 포인트: 입주민 수요 기반 업종 설정 + 제휴 기반의 운영 모델

실패 사례 ② – 경기 평택시 D단지 상가

구분 내용
입점 시기 아파트 준공 3개월 전 선점
업종 고급 일식 전문점 (40평대 이상)
위치 2층 구석 상가, 엘리베이터 접근성 떨어짐
마케팅 없음 (기대 유동인구만 타깃)
※  문제점: 상권 분석 없이 고가 업종 배치
→ 유지비 과중으로 조기 철수, 권리금 손실 발생

성공 전략을 위한 5가지 요약 체크

  입주율 50% 이후를 기준점으로 입점 계획
  입지 분석은 실제 동선 중심으로 판단
  입주민 라이프스타일 맞춤형 업종
  단지 커뮤니티와 연계된 마케팅 채널 확보
  임대차 조건 + 권리 분석까지 사전 점검


한 줄 정리

☞ “좋은 자리에 무조건 먼저 들어간다고 성공하는 건 아닙니다.”
분석하고 계획한 자만이 상가 입점에서 이깁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