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동산 완전정복/단지내상가편

[단지내상가 #6] 상가 권리금, 무조건 피해야 할까? 합리적 판단 기준

by 코시팅(K-Senior fighTing) 2025. 7. 14.
반응형

권리금, 사라진 게 아니라 ‘진화’했다

예전엔 권리금 하면 무조건 부정적인 이미지였지만,
지금은 상가 가치의 일부로 자연스럽게 포함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문제는 ‘합리적’이냐, ‘부풀려진 거품’이냐입니다.

상가 권리금, 무조건 피해야 할까? 합리적 판단 기준
상가 권리금, 무조건 피해야 할까? 합리적 판단 기준

권리금의 종류, 정확히 알아두자

구분 내용
시설권리금 인테리어, 집기류 등 설비에 대한 대가
영업권리금 장소·상권에서 누적된 매출 기반의 기대 수익
바닥권리금 별도 시설 없이도 상가 자체 가치로 형성된 권리금
☞ 투자자는 이 권리금이 '왜 붙었는지'의 논리를 따져야 합니다.

감정이 아닌 수익성과 구조로 판단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무조건 피해야 할 권리금 3가지

  1. 매출 실적 없이 “자리값”만 주장하는 경우
  2. 임대차 계약 갱신기한이 얼마 남지 않은 상가
  3. 입지 분석이 안 된 소규모 유동상가 (골목형)

  √  ‘권리금 = 손해’가 아닙니다.
근거 없는 권리금이 문제인 것입니다.


권리금 지불이 ‘합리적’인 경우는?

  • 안정적 매출이 증빙 가능하고
  • 중장기 임대차 계약이 보장되어 있으며
  • 동일 업종 입점 난이도가 높은 경우

예) 학원가 중심지, 병원·약국 상권, 브랜드 입점 안정매장 등은
 프리미엄 가치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단지내 상가에서 권리금은 어떻게 작용하나?

  • 신규 분양 상가는 권리금이 없음 (초기 직접 창업 시 유리)
  • 준공 후 수년 지난 단지에서는
     ☞ 생활밀착 업종 중심으로 권리금 형성
     ☞ 특히 ‘1층 입구 앞 약국’ 같은 자리는 권리금이 높게 형성됨

권리금 협상 전 체크할 5가지

 최근 6개월 매출자료 확보
 세입자 교체 이력 및 계약 만기 확인
 인근 상가 권리금 시세 비교
 동일 업종 경쟁 점포 유무
 추후 임대차보호법에 따른 권리금 회수 가능 여부


한 줄 정리

☞ “권리금은 위험한 게 아니라, 분석 없는 권리금이 위험하다.”
객관적인 자료와 수익구조 분석이 병행된다면,
권리금은 오히려 기회의 지표가 될 수도 있습니다.


다음 콘텐츠는
[단지내상가 #7] 유치권, 전대차, 불법용도변경… 법적 리스크 점검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