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달러 자산 보유”, 그 비중이 투자 리스크를 좌우한다
2025년, 미국 기준금리는 고점에 도달했다는 평가가 많지만 연준(Fed)은 여전히 조심스러운 행보를 보이고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달러화는 아직까지 강세와 약세를 반복하며 방향성을 잡지 못하는 모습입니다.
투자자 입장에선 ‘언제까지 달러 자산을 많이 들고 있어야 하나?’가 중요한 고민입니다.
환율, 금리, 물가, 경기 흐름을 고려한 달러 자산의 적정 보유 비중을 구체적으로 정리해드릴게요.
▣ “달러 자산”이란 무엇을 포함하나요?
자산 종류 | 예시 |
현금성 자산 | USD 예금, 달러RP |
해외 ETF | SPY, QQQ, TLT 등 미국 ETF |
해외 채권 | 미국 국채, 회사채 (직접/간접 보유 포함) |
금 | 보통 달러로 거래되므로 간접적 달러 노출 |
해외 부동산/펀드 | 미국/유럽 중심 상품 |
▣ 적정 보유 비중의 기준은?
투자 성향 | 추천 달러 자산 비중 | 비고 |
공격형 | 40~60% | 해외ETF+달러 현금 중심 |
중립형 | 25~35% | 국내외 분산 투자, 환헤지 고려 |
보수형 | 10~20% | 국내자산 중심 + 일부 안전자산형 달러 투자 |
기준: KIEP, 자본시장연구원, 블랙록의 글로벌 자산배분 가이드 참고
▣ 2025년 현재 환율 흐름 요약 (원/달러 기준)
- 2025년 1월: 1,310원
- 2025년 3월: 1,355원 (달러 강세)
- 2025년 6월 현재: 1,328원 (다시 하락세)
- 시장은 하반기 연준의 금리 인하 가능성을 반영하며 달러 약세 전환 가능성 확대
▣ 실전 대응 전략: 달러 자산 리밸런싱 로드맵
시점 | 전략 방향 |
달러 강세 구간 | 자산 유지 or 일부 익절 / 금·국채 중심 강화 |
달러 약세 전환 시 | 해외자산 일부 축소 / 원화자산 비중 확대 |
환율 1,250원 이하 | 환차손 가능성 커짐 → 현금성 자산 비중 축소 고려 |
🔹 ETF 리밸런싱 팁: 달러 베이스 자산(TLT, QQQ 등)을 원화 환산 가치 기준으로 재조정
🔹 환헤지 ETF 활용: 한국에서도 출시된 환헤지형 글로벌 ETF를 활용하면 환율 변동 방어 가능
▣ 마무리 코멘트
달러는 단지 외화가 아닙니다.
글로벌 자산시장 흐름을 투영하는 통화이자, 투자 전략의 핵심축이에요.
2025년 하반기는 “달러 자산을 언제 얼마나 줄일 것인가”를 중심으로 전략을 다시 세울 시점입니다.
☞ 다음 콘텐츠에서는 “글로벌 경기 사이클과 자산 흐름 시나리오”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반응형
'투자 인사이트 > 글로벌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250724) 미·EU·일 관세 협상과 알파벳·테슬라 실적 변수 체크 (6) | 2025.07.24 |
---|---|
(2025.07) 글로벌 경기 사이클에 따른 자산 흐름 시나리오 (1) | 2025.07.02 |
(2025.06) 글로벌 ETF 시장 규모 TOP10: 자금이 몰리는 곳을 주목하라 (2) | 2025.06.30 |
(2025.06) 월가 애널리스트가 추천하는 자산 배분 전략 (3) | 2025.06.29 |
(2025.06) 미국 CPI 발표가 비트코인과 주식시장에 미치는 영향 (0) | 2025.06.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