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투자 인사이트/글로벌 이슈

(250724) 미·EU·일 관세 협상과 알파벳·테슬라 실적 변수 체크

by 코시팅(K-Senior fighTing) 2025. 7. 24.
반응형

▣ 왜 ‘시장 개방=관세 인하’가 이슈인가?

최근 미국이 일본과의 관세 합의를 추진하고, EU와도 최소 15~20%대 상호관세 레벨을 놓고 협상 중이라는 보도가 잇따름. 관세 레벨이 예상보다 낮게 결정되면 ‘시장 개방’ 시그널로 해석돼 글로벌 교역 민감 업종(자동차, 산업재, 반도체 장비 공급망 등)과 위험자산 전반에 긍정적 심리 자극 가능. 반대로 협상 결렬 또는 고율 관세 유지 시 비용 압박+보복관세 우려 확대. 


▣ 빅테크 실적 시즌 – 테슬라·알파벳이 왜 분수령인가?

이번 주(7월 21~25, 미 동부시간)부터 본격화된 실적 시즌의 첫 대형 이벤트가 테슬라와 알파벳 발표. 두 종목은 M7(매그니피센트7) 중 선발 주자라 투자심리를 선도하는 경향. 팩트셋 기준 M7 전체 2분기 순이익 증가율이 S&P500 나머지 493개 기업 대비 월등(14% vs 3%대)으로 추정되는 가운데, 실제 수치가 기대를 충족할지에 따라 지수 레벨 변동 폭이 달라질 수 있음. 

미·EU·일 관세 협상 속 증시 반응과 알파벳·테슬라 실적 변수 체크
미·EU·일 관세 협상 속 증시 반응과 알파벳·테슬라 실적 변수 체크

▣ 현재 협상 레인지와 시장 기대

파이낸셜타임스(FT) 보도 인용 기사들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 측이 EU에 최소 15~20% 관세를 요구하는 것으로 전해졌고, 일본과의 무역협상 결과가 레벨 가늠좌 역할을 하고 있음. EU 측은 더 낮은 수준을 원하지만 시간 압박(8월 1일 상호관세 발효 시한)이 커지는 상황. 시장은 ‘기한 내 저율타결’ 혹은 ‘유예 연장’ 시나리오를 일부 가격에 반영 중이라는 분석.

 

▣ 고평가 구간에서의 리스크: PER 22배

S&P500 선행 PER이 최근 약 22배 수준으로 10년 평균(19배 내외) 및 최근 5년 평균을 웃돌고 있다는 지적이 다수 전문가 인터뷰에서 반복 언급. 이런 구간에선 ‘컨센서스 미달=주가 급락’ 패턴이 강화될 수 있음. 넷플릭스 사례가 방증.

 

▣ 투자심리 시그널 – “좋은 소식은 이미 반영?”

시장 참여자 인터뷰(펜더펀드 CIO, 스테이트스트리트 전략가 등)에서는 이미 긍정적 기대가 가격에 선반영돼 있어 실적이나 정책 호재가 나오더라도 주가가 오히려 출렁일 수 있다는 경계심리가 확인됨. 실적 발표 전후 변동성 대비 전략 필요. 

 

▣ 관세 협상과 빅테크 실적이 만나는 지점

  1. 관세 완화 시나리오 → 글로벌 성장 기대 회복 → 광고·클라우드 지출 둔화 우려 완화 → 알파벳 실적 밸류 재평가 가능.
  2. 관세 충격 지속 → 전기차·부품 공급망 비용 압박 → 테슬라 마진 가이던스에 부담.
  3. 고평가 구간 + 실적 실망 + 관세 불확실성 결합 시 지수 레벨 조정폭 확대. 

▣ 넷플릭스 선행 사례에서 얻을 교훈

넷플릭스는 매출/이익 모두 예상치 상회에도 다음날 주가가 하락. 시장은 ‘숫자’보다 ‘향후 가이던스’와 ‘거시 변수’를 더 민감하게 반영 중. 빅테크 발표 시 “성장률 둔화 코멘트”나 “비용 가이던스 상향” 등이 주가 반응을 좌우할 수 있음.

 

▣ 실적 발표 일정(현지 기준) & 체크포인트

  • 테슬라: 7월 23일 장 마감 후 예정. 마진, FSD(자율주행), 에너지 저장 매출 비중, 중국/유럽 출하 비용 관세 민감도 확인. 
  • 알파벳(구글): 7월 23일 장 마감 후 예정. 광고 매출 성장률, 클라우드 영업이익률, AI 인프라(CAPEX) 가이던스 주목. 

▣ 관세 시나리오별 시장 반응 가늠표

시나리오 관세
레벨/진행
증시 심리 빅테크 영향 포인트 전략 메모
저율타결 상호관세 15% 이하 +
단계적 인하 로드맵
위험선호 회복 알파벳 광고·클라우드 CAPEX
개선 기대
빅테크 비중 유지 +
성장 ETF
중간타결 15~20% 고착,
유예 연장
변동성 지속 비용 불확실성 혼재 장단기 헤지 병행,
품질주 선호
결렬/고율 20%+
또는 8/1 발효
위험회피,
수출주 압박
테슬라 마진·수요
불확실성
방어주/현금비중 확대,
커버드콜

 

▣ 투자 접근 아이디어 (참고용)

  1. M7 집중 ETF로 이벤트 트레이드: 실적 발표 주간 단기 변동성 활용 후 분할 접근. M7 실적 비중이 지수 대비 초과 추정되는 점 감안.
  2. 관세 민감 공급망(자동차·부품, 반도체 장비) 분산: 관세 레벨 시그널에 따라 리밸런싱 전략 사전 준비. 
  3. 실적-밸류 괴리 점검: 고PER 국면에서 컨센서스 미달 시 조정폭이 커지므로 목표 비중을 발표 전 감축, 발표 후 데이터 확인 뒤 재진입하는 “실적 확인형” 접근 검토.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