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투자 인사이트/글로벌 이슈

(2025.07) 글로벌 경기 사이클에 따른 자산 흐름 시나리오

by 코시팅(K-Senior fighTing) 2025. 7. 2.
반응형

경기 흐름을 읽으면 자산의 이동 방향이 보인다

투자는 타이밍보다 방향입니다.
그 방향을 알려주는 것이 바로 ‘글로벌 경기 사이클’입니다.

2025년 현재, 미국과 유럽 경제는 고금리 피크를 지나 완만한 둔화 국면으로 진입 중입니다.
이제 우리는 “지금이 어떤 사이클 국면이고, 어떤 자산에 집중해야 하는지” 판단해야 할 때입니다.

글로벌 경기 사이클에 따른 자산 흐름 시나리오
글로벌 경기 사이클에 따른 자산 흐름 시나리오

 

▣ 글로벌 경기 사이클의 4단계

단계 경기 상황 금리 흐름 추천 자산
1. 회복기 GDP 반등, 실업률 개선 금리 인하 초입 주식(성장주), 원자재, 리츠
2. 확장기 소비 증가, 기업실적 개선 금리 인상 시작 주식(가치주), 하이일드채권
3. 과열기 인플레이션 상승, 임금 증가 금리 인상 지속 원자재, 인플레 보호 채권
4. 둔화기 경기 정체, 소비 위축 금리 인하 논의 채권, 금, 현금성 자산
 현재는 ‘4단계 둔화기’에 가까운 흐름으로 평가됩니다.
→ 자산 시장은 조정과 반등을 반복하며, 포트폴리오 리밸런싱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시기입니다.

▣ 주요국별 현재 위치 (2025년 6월 기준)

추천 자산 국가/지역 사이클 단계특징
🇺🇸 미국 둔화기 고금리 지속 중, 소비 둔화 조짐
🇪🇺 유럽 회복기 에너지 안정화, 산업생산 회복
🇯🇵 일본 확장기 디플레이션 탈출, 엔화 약세 지속
🇨🇳 중국 과열/둔화 중간 경기 부양책 효과 제한적
기타 신흥국 확장기 원자재 수출국 위주로 호조

 


▣ 자산 흐름 시나리오: 단계별 전략 정리

시나리오 추천  자산포인트
금리 인하 본격화 장기채권(TLT), 리츠(VNQ), 금(GLD) 채권 수익률 저점
경기 회복 초기 기술주(QQQ), AI테마, 원자재(XLB) 성장 기대 선반영
인플레 재확산 인플레이션 보호채(TIP), 원유(USO) 물가 연동 수익 추구
달러 약세 지속 해외주식(VEA), 신흥국 ETF(IEMG) 환차익 포함 수익

▣ 포트폴리오 구성법 (2025 하반기 기준 제안)

  • 30% 채권 (IEF, TLT)
  • 25% 글로벌 주식 (SPY, VEA, QQQ)
  • 20% 금/원자재 (GLD, XLE)
  • 15% 리츠/대체자산 (VNQ, BDC 등)
  • 10% 현금성 자산 (현금, 단기채)
  • 핵심은 분산입니다. 어느 하나에 몰빵하면 ‘사이클 변화’에 흔들릴 수 있습니다.

▣ 마무리 

글로벌 자산시장에서도 가장 안정적인 수익을 가져가는 투자자들은 “어떤 자산이 뜰까?”보다 “지금이 어떤 사이클인가?”에 집중하는 사람들입니다.

2025년 하반기, 둔화→회복 전환 구간의 흐름을 잘 읽는다면 다음 상승장에서 가장 먼저 수익을 확보하는 사람이 될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