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포착 사례
최근 직장문화 연구에서 ‘Quiet Cracking(조용한 균열)’이라는 신조어가 떠오르고 있습니다.
이는 직원이 겉으로는 업무를 정상적으로 수행하지만, 내면적으로는 정서적 피로와 무기력으로 서서히 무너지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 Business Insider는 직장인 54%가 “Quiet Cracking을 경험한 적 있다”고 응답했다고 보도했습니다.
- TalentLMS 조사에서는, 직원 10명 중 6명이 “조직이 정신건강을 충분히 지원하지 않는다”고 답했습니다.
- ‘Quiet Quitting(조용한 퇴사)’이 업무 참여 축소라면, ‘Quiet Cracking’은 내적 소진과 정서적 붕괴를 가리킵니다.
☞ 출처: Business Insider, US Chamber
▣ 작은 현상, 큰 시그널
Quiet Cracking은 단순한 개인 문제가 아니라, 조직 전체 생산성과 지속 가능성에 직격탄을 날릴 수 있습니다.
- 보이지 않는 문제: 직원은 출근도 하고 업무도 하지만, 조직에 대한 몰입도는 무너짐
- 세대별 특징: MZ세대는 ‘정신 건강 인식’이 높아 빨리 대응하지만, 시니어 세대는 ‘참는 문화’ 탓에 증상이 심화되기 쉬움
- 기업의 리스크: 조용한 균열은 결국 성과 저하 → 이직 증가 → 조직 불안정으로 이어짐
이는 “직장은 더 이상 성과만의 공간이 아니라, 정서적 웰빙까지 관리해야 하는 공동체”라는 신호입니다.
▣ 코시팅(KST)의 한 줄 통찰
“겉으로 멀쩡해 보여도,
속이 무너지면 조직 전체가 흔들린다.”
▣ 마무리
Quiet Cracking은 업무 성과보다 더 무서운 현상입니다.
문제를 숨기고 견디는 문화가 계속된다면, 결국 개인과 조직 모두 잃게 됩니다.
코시팅(KST)은 이렇게 제안합니다.
- 정기적 멘탈 헬스 체크: 연차 건강검진처럼 심리검진 제도화
- 심리 안전망 구축: 직장 내 상담 채널, 익명 소통 창구 마련
- 시니어 배려 프로그램: “참는 것”을 미덕으로 여겨온 세대를 위한 맞춤 심리 지원
작은 균열이 조직 전체 붕괴로 이어지지 않도록, 지금 필요한 건 조직 차원의 정서적 안전망입니다.
반응형
'유용한 생활정보 > 세상 포착 현미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AI가 사무실을 사라지게 할까? (1) | 2025.09.05 |
---|---|
피부를 위한 여행, K-Beauty 관광이 뜬다 (1) | 2025.09.04 |
디지털 체스판에서 벌어지는 공정성 전쟁 (1) | 2025.09.03 |
조용히 번영하는 직장문화, Quiet Thriving의 부상 (4) | 2025.09.02 |
건강과 도시를 지키는 기묘한 법(Law) – 일본과 베네치아 이야기 (5) | 2025.09.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