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후에도 활발하게 사회와 연결될 수 있는 기회를 찾는 건 누구에게나 중요한 일입니다.
최신 소식은 아니지만, 시니어 독자들에게는 여전히 유익한 정보로 판단되어 내용을 안내합니다.
지난 7월 15일, 보건복지부는 ‘2026년 신규 노인일자리 개발을 위한 아이템 공모전’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무려 395건의 제안 중 12건이 우수작으로 최종 선정되었고, 내년부터 시범사업으로 추진될 예정입니다.
▣ 공모전 개요
- 주최: 보건복지부
- 참여 건수: 총 395건 접수
- 선정 규모: 대상 1건, 최우수상 2건, 우수상 3건, 장려상 6건 → 총 12건
- 시행 계획: 2026년부터 지역별 시범사업 실시 후 전국 확대
▣ 주요 선정 아이템
☞ 보건복지부 보도자료 – 2026년 신규 노인일자리 아이템 공모전 결과
- 대상
- 현충시설 시니어 레인저스 (국가보훈부)
- 전국 2,331개 현충시설 관리 및 보훈의식 제고 활동
- 최우수상
- ESG여행 도슨트 (부산광역시): 친환경·지속가능 여행 해설 참여
- 시니어 법무보호 사전상담단 (한국법무보호복지공단): 사회복귀 지원 대상자 상담 지원
- 우수상
- 공항안전 불법드론 감시단 (사단법인 느영나영복지공동체)
- 교통약자 이동서비스 실버드라이버 사업단 (여주시청)
- 자살예방 시니어 건물안전 점검단 (한국생명존중희망재단)
- 장려상
- 시니어 반려식물 녹색멘토 (계룡시니어클럽)
- 금연지도원 노담헬퍼사업 (논산시니어클럽)
- 폐어구 리사이클링 도우미 (서해어업관리단)
- 폐핸드타월 재활용 (예산군시니어클럽)
- 그림책 교구 제작단 (원주시니어클럽)
- 일터이음 동행단 – 외국인 계절근로자 모니터링 (임실시니어클럽)
▣ 의미와 기대 효과
- 다양성 확대: 돌봄·환경·안전·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노인 친화형 일자리 발굴
- 사회적 가치 창출: 단순 근로를 넘어 사회공헌·지역문제 해결에 기여
- 정책적 전환: 단기적 일자리에서 장기적이고 질 높은 일자리로 진화
- 삶의 질 향상: 경제적 보탬뿐 아니라 자존감·사회적 유대 강화
▣ 마무리
이번 공모전은 “시니어도 충분히 사회의 중심축으로 활동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줍니다. 내년부터 실제 시범사업이 진행되면, 보다 실질적인 일자리 모델로 정착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코시팅(KST)은 앞으로도 시니어 세대가 사회와 연결될 수 있는 새로운 기회를 꾸준히 전해드리겠습니다.
반응형
'K-시니어 디딤정보 > 공공 일자리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니어 아르바이트 플랫폼 실전 가이드 – 등록 직종과 급여 수준까지 (2) | 2025.09.12 |
---|---|
2025년 노인일자리 및 사회활동지원사업 – 역대 최대 규모 (0) | 2025.08.21 |
정부 공공근로 vs 민간 사회서비스 일자리 비교 (6) | 2025.08.04 |
노인일자리 유형별 소득과 업무 예시 (2) | 2025.08.03 |
60세 이상 재취업 지원 프로그램 모음 (1) | 2025.08.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