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New 테크놀로지/정책·기업

[Ep.37] TESLA의 로보틱스 & Dojo – 자율 시스템의 진화

by 코시팅(K-Senior fighTing) 2025. 8. 5.

자동차 회사를 넘어서 ‘자율 시스템 기업’으로
테슬라는 전기차 회사로 출발했지만,
지금은 자율주행, 로보틱스, AI 반도체 등
전혀 다른 산업들을 동시에 이끌고 있는
‘미래 기술 복합체’로 진화 중입니다.

특히 Dojo 슈퍼컴퓨터 Optimus 휴머노이드 로봇테슬라의 AI·로보틱스 전략이 단순한 개념이 아니라 실체가 있음을 보여주는 상징입니다.

TESLA의 로보틱스 & Dojo – 자율 시스템의 진화
TESLA의 로보틱스 & Dojo – 자율 시스템의 진화

▣ Dojo: 자율주행 학습 전용 슈퍼컴퓨터


Dojo는 테슬라가 자체 설계한
AI 트레이닝 전용 슈퍼컴퓨팅 시스템입니다.

핵심 목표는 자율주행 차량에서 수집되는 수백억 개의 영상·센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학습시켜 인간 수준의 반응을 구현하는 것입니다.

Dojo의 특징:

  • 자체 설계한 D1 칩 기반 → 초고속 연산 최적화
  • GPU가 아닌 CPU + AI 트레이닝 특화 아키텍처
  • 통신 병목 제거를 위한 독립 고속 인터커넥트 구조
  • 1ExaFLOP(초당 100경 연산) 이상 목표 성능
  • 외부 데이터센터 의존 없이 자율주행 알고리즘 독립 훈련

Dojo는 단순 연산을 넘어,
AI가 ‘현실을 해석하는 능력’을 갖추게 하기 위한
근본 기술로 설계되고 있습니다.


▣ Optimus: 로봇 혁신의 새로운 방식


Optimus는 테슬라가 공개한 범용 휴머노이드 로봇입니다.
인간의 일상적 반복 작업을 대신할 수 있는 것을 목표로 하며
전통적인 산업 로봇과는 전혀 다른 방식으로 접근하고 있습니다.

특징:

  • 테슬라 차량용 FSD 칩 기반 제어 시스템
  • 인간과 유사한 비율과 동작 범위
  • 카메라 기반 시각 인식, 자체 균형 제어
  • 지속적인 OTA 업데이트로 기능 진화 가능
  • 전기차 생산라인에 시범 적용 중

테슬라는 Optimus를 단순 제조 보조 로봇이 아니라
궁극적으로 ‘가정과 사무실에서 함께 생활하는 동반자형 로봇’으로 발전시킬 계획입니다.


▣ 테슬라가 추구하는 AI 생태계

영역 기술 및 제품
자율주행 FSD(Fully Self Driving), Vision-only 모델
AI 학습 Dojo 슈퍼컴퓨터, 자체 D1 칩
로보틱스 Optimus 휴머노이드 로봇
반도체 자율주행 전용 칩 설계 및 생산
데이터 6백만 대 이상의 차량에서 실시간 주행 데이터 수집
소프트웨어 OTA 기반 지속적 성능 개선, Neural Net 자동 개선

이 생태계는 완전히 수직 통합되어 있어 외부에 의존하지 않고 자체 AI 시스템을 훈련, 운영, 배포할 수 있는 구조로 설계되어 있습니다.


▣ 산업과 투자 시사점

항목 설명
산업 영향 자동차 → 로봇 → AI 칩 → 데이터까지 수직 통합
투자 가치 FSD·로봇이 실현될 경우 테슬라는 소프트웨어·서비스 기업으로 전환
경쟁 구도 NVIDIA, Waymo, Apple Car, Boston Dynamics 등
관련 ETF ARKW, QQQ, SMH, BOTZ
전략 포인트 전기차 판매보다 AI·로보틱스 서비스 수익이 더 커질 가능성
기술 장벽 실시간 센서 융합, 휴머노이드 균형 제어, AI 판단 신뢰도
 

▣ 요약

테슬라는 단순히 전기차 기업이 아닙니다.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학습시켜,
실시간으로 환경을 판단하는
AI 자율 시스템의 거대한 생태계를 만들고 있습니다.

Dojo와 Optimus는
그 생태계의 연산 뇌와 실행 신체 역할을 하며,
테슬라를 하드웨어 기업이 아닌
AI 기반 운영체제(OS) 기업으로 이끄는 핵심입니다.

반응형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광고는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