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New 테크놀로지/정책·기업

[Ep.38] 삼성전자 AI 전략 – 초격차 기술의 글로벌 게임

by 코시팅(K-Senior fighTing) 2025. 8. 6.

‘반도체 제국’이 인공지능에 뛰어든 이유
삼성전자는 오랫동안 메모리 반도체, 디스플레이, 스마트폰 등 하드웨어 중심의 기술 경쟁에서 세계 선두를 지켜왔습니다.

하지만 AI 시대가 본격화되면서
삼성 역시 ‘데이터 처리와 활용’ 중심의
AI 전략을 가속화하고 있습니다.

하드웨어에 AI를 담는 수준을 넘어서
AI를 설계하고, 학습시키고, 스스로 개선하는
AI 중심 기업으로 변화하는 것이 삼성의 현재 목표입니다

삼성전자 AI 전략 – 초격차 기술의 글로벌 게임
삼성전자 AI 전략 – 초격차 기술의 글로벌 게임

▣ 삼성의 AI 전략 3축

1. 반도체 기반 AI 가속

  • NPU(Neural Processing Unit) 자체 개발
  • 메모리 연산(Processing-in-Memory, PIM) 기술 확보
  • 차세대 AI 반도체(AI Engine) 연구 개발 강화
  • 파운드리를 통한 글로벌 AI 칩 고객사 확보

2. 기기 내 AI (On-device AI)

  • 스마트폰, TV, 가전제품에 AI 탑재
  • 프라이버시 보호, 반응 속도 개선
  • 갤럭시 AI, 빅스비의 자연어 처리 능력 고도화
  • 단말기 자체에서 AI 판단 가능하도록 설계

3. 플랫폼·서비스형 AI

  • 삼성리서치를 통한 대규모 언어모델 개발
  • 의료 영상 AI 분석 솔루션 (Samsung Medison 등)
  • 스마트홈, 헬스케어, 보안 등에서 AI 기반 사용자 맞춤 서비스 제공

▣ 기술 포지셔닝: 메모리 중심에서 연산 중심으로

기존 강점 AI 강화 전략
DRAM, NAND 등 메모리 세계 1위 연산 기능을 메모리에 직접 결합 (PIM)
AP(Exynos) 개발 NPU 탑재 강화, 비전·언어처리 고도화
파운드리 사업 AI 칩 설계 기업 유치 및 자체 칩 생산
모바일·가전 분야 디바이스 자체 AI 처리 기능 확대
 

▣ 글로벌 경쟁과 협업 구도

  • Google: 공동 AI칩 개발, Android 기반 기기 최적화
  • OpenAI, Meta 등과 협업 가능성 탐색
  • AMD와 파운드리 협력 확대
  • 반도체 고객사로서 NVIDIA, Qualcomm과 다각적 관계 유지

또한, 삼성전자는 자체 연구소인 삼성리서치 외에도
북미·영국·캐나다·중국 등에 글로벌 AI 센터를 두고
초거대 AI 모델 및 특화 솔루션 개발을 병행 중입니다.


▣ 산업과 투자 시사점

항목 설명
산업 영향 메모리·모바일·가전 모든 영역에서 AI 내재화
기술 전략 연산 중심 반도체 개발 + On-device AI + AI SaaS 확장
관련 계열사 삼성리서치, 삼성 SDS, 삼성 메디슨 등
투자 관점 AI 수요 증가 → 반도체 슈퍼사이클 가능성
유망 ETF SOXX, SMH, QQQ, ARKK
전략 포인트 하드웨어 강점을 AI 알고리즘과 통합하는 초격차 전략
 

▣ 요약

삼성전자는 더 이상 단순 제조기업이 아닙니다.
AI 기술을 전방위에 심어 넣고,
그 기반을 바탕으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모두 장악하려는
‘AI 플랫폼 기업’으로 진화 중입니다.
AI 시대의 진정한 초격차는
빠른 칩이 아니라,
현명한 판단을 내리는 기술입니다.
그리고 그 기술을 통합하는 속도에서
삼성은 지금 다시 한번 세계와의 게임을 시작하고 있습니다.

반응형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광고는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