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폐율2

[건축 #3] 내 땅에 몇 층 건물이 가능할까? (실전 계산법) 건폐율과 용적률만 알면 설계의 80%는 끝난다건물을 지을 때 땅값보다 더 중요한 게 있습니다.바로 “이 땅에 몇 층까지 건물을 지을 수 있는가”입니다.단순히 면적이 넓다고 유리한 게 아닙니다.비율(건폐율·용적률) 제한을 고려하지 않으면 설계부터 허가, 수익 분석까지 모두 어긋납니다. ▣ 계산에 필요한 기본 요소대지면적: 내가 보유한 땅의 전체 면적건폐율: 1층 건축 면적의 최대 비율용적률: 건물 전체 연면적의 최대 비율예상 층별 바닥면적: 실제 건축 도면의 기준이 되는 층별 면적▣ 실전 계산 예시 ①대지 300㎡, 건폐율 60%, 용적률 180% 기준 1. 건축면적 = 300㎡ × 60% = 180㎡→ 1층 바닥면적은 180㎡까지 가능 2. 연면적 = 300㎡ × 180% = 540㎡→ 전체 건물은.. 2025. 7. 10.
[건축 #1] 건폐율 vs 용적률, 이 두 개념만 알면 건축이 보인다 건축의 핵심은 ‘비율’이다건축을 계획할 때 가장 먼저 부딪히는 질문은“이 땅에 얼마나 지을 수 있는가?”입니다.이 질문에 정답을 주는 것이바로 건폐율과 용적률입니다.☞ 이 두 비율만 정확히 이해하면, 설계 가능 범위부터 수익성 예측까지 가능해집니다.▣ 건폐율이란?대지면적 중 1층 건축면적이 차지하는 비율계산식 : 건축면적 ÷ 대지면적 × 100건축면적 : 1층 외곽선 기준 바닥 면적조경, 주차장, 마당 확보 여부에 영향을 미침예시: 대지 200㎡ × 건폐율 60% = 1층 120㎡까지 가능✔ 건폐율이 높으면 넓은 평면 설계 가능✔ 낮을수록 여유 공간 확보에 유리▣ 용적률이란?대지면적 대비 전체 건물 연면적의 비율계산식: 연면적 ÷ 대지면적 × 100연면적: 지상 모든 층의 바닥 면적 합예시: 대지.. 2025. 7. 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