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건축2 [건축 #9] 증축, 개축, 재건축의 차이와 절차 정리 같은 공사인데 명칭이 다른 이유는?건물을 고치거나 바꾸려 할 때“이건 증축입니다”, “이건 재건축 허가 받아야 합니다”라는 말을 들은 적 있으실 겁니다.왜 같은 ‘공사’인데 명칭이 달라지는 걸까요?그 이유는 단 하나, 건축법 적용이 다르기 때문입니다.각 용어는 허가, 세금, 구조요건 등모든 조건에 영향을 미칩니다. ▣ 증축이란? 기존 건물에 면적을 추가로 늘리는 행위옆으로 덧붙이거나 위로 층수를 올리는 경우기존 건물의 골조와 주 구조는 그대로 유지허가 대상이며, 건폐율·용적률 재산정예: 단독주택 2층에 1개 층 추가 → 증축 상가 건물 뒤편 창고 추가 → 증축☞ 현황 건물 + 증축면적 = 전체 건축면적으로 간주▣ 개축이란? 기존 건물을 철거 후 동일한 규모·형태로 다시 짓는 행위.. 2025. 7. 16. [입문편 #9] 재건축, 재개발, 리모델링? 비슷하지만 전혀 다릅니다 "우리 아파트가 재건축되면 시세가 두 배 오른다는데요?""리모델링과 재건축의 차이는 뭔가요?""재개발은 낙후된 지역을 밀고 새로 짓는 건가요?"이 세 가지, 겉보기엔 비슷해 보이지만 법적 근거, 사업 주체, 진행 절차, 투자 방식이 모두 다릅니다.이번 편에서는 정비사업의 3대 유형을 정확히 구분하고,실수요자·투자자·조합원 입장에서 어떻게 접근해야 하는지 알려드립니다. 1. 세 가지 정비사업 기본 비교 구분 재건축 재개발 리모델링 대상노후된 공동주택 (아파트)낙후된 주거지(주택 + 도로 등)구조 변경이 가능한 기존 아파트목적안전성·기능성 확보도시환경 정비공간 효율 개선법적 근거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주택법핵심 요건준공 후 30년 이상 + 안전진단 통과기반시설 부족 + 주거환경 악화.. 2025. 6. 30.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