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 중 가족이 바쁜 시간,
집에서 홀로 계시는 어르신들 걱정 많으셨죠?
‘주간보호센터’는 아침에 등원하고, 오후에 귀가하는 방식으로 어르신들을 안전하고 편안하게 돌보는 하루형 복지시설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각 지자체 노인복지관에서 운영하는 주간보호센터 이용법과 주요 혜택을 소개해드립니다.
▣ 주간보호센터란?
- 만 65세 이상 어르신을 대상으로 평일 주간 시간 동안 보호 및 재활서비스 제공
- 치매 초기나 경증, 거동 불편 어르신 대상으로 전문 간호사, 사회복지사 상주
- 점심/간식 제공, 목욕, 운동, 정서지원 등 포괄 서비스 운영
▣ 주요 서비스 항목
구분 | 내용 |
식사 | 영양식 제공 (점심, 간식) |
건강관리 | 혈압·혈당 체크, 투약관리 |
재활 | 물리치료, 기능 회복 체조 |
여가활동 | 그림, 퍼즐, 회상놀이, 음악활동 |
목욕서비스 | 간단한 입욕 서비스 운영 |
▣ 이용 대상 및 비용
- 장기요양 등급 (5등급~인지지원등급 등) 보유자 우선
- 일부 센터는 비등급자도 소정의 실비로 이용 가능
- 1일 이용 시 약 15,000원~25,000원 수준 (급식·차량 포함)
- 장기요양 본인부담금은 등급에 따라 차등 (90% 이상 지원)
☞ 이용 방법
- 거주지 인근 노인복지관 또는 주간보호센터 문의
- 방문상담 또는 전화예약 → 이용 가능 여부 확인
- 장기요양인정서 발급 시 센터 연계 안내 가능
▣ 지역 센터 예시 (2025년 기준)
지역 | 기관명 | 연락처 |
서울 강북구 | 강북노인종합복지관 주간보호센터 |
02-987-0011 |
경기 안산시 | 안산노인복지관 주간보호센터 |
031-487-9955 |
부산 동래구 | 동래노인복지관 주간보호센터 |
051-552-5510 |
전주 완산구 | 전주평화노인복지관 | 063-226-5501 |
※ 기타 지역은 ‘복지로’ 또는 ‘노인장기요양보험 홈페이지’ 통해 검색 가능
▣ 마무리
가족이 안심할 수 있는 돌봄,
어르신이 미소 지을 수 있는 일상,
그 시작은 가까운 주간보호센터일 수 있습니다.
코시팅(KST)은 어르신과 가족 모두의 편안한 하루를 응원합니다.
반응형
'K-시니어 디딤정보 > 지자체 프로그램 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역별 노인대학 입학 요건 및 커리큘럼 비교 (9) | 2025.08.07 |
---|---|
자치단체 연계 치매예방 상담소/활동 지도 (1) | 2025.08.06 |
구청 문화센터 무료 여가 프로그램 모음 (8) | 2025.08.05 |
지자체별 시니어 봉사단 운영 현황 및 신청법 (3) | 2025.08.04 |
평생학습관 시니어 강의 안내 및 수강법 (6) | 2025.08.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