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유용한 생활정보/건강ㆍ심리

[심리 #19] 감정 온도계 사용하기 – 내 기분을 수치로 기록

by 코시팅(K-Senior fighTing) 2025. 8. 16.

기분은 늘 변합니다.

아침에는 맑다가도 오후엔 흐려지고, 저녁엔 다시 개일 수 있습니다.
이 변화를 무심코 흘려보내면,
나는 왜 기분이 나빠졌는지, 왜 힘이 났는지를 알 수 없습니다.

감정 온도계는 나의 기분을 숫자로 표현하고 기록하는 도구입니다.
0은 매우 힘든 상태, 10은 행복하고 안정된 상태를 뜻합니다.

감정 온도계 사용하기 – 내 기분을 수치로 기록 : 코시팅(KST)
감정 온도계 사용하기 – 내 기분을 수치로 기록 : 코시팅(KST)

 감정온도계(Emotional Thermometer)란?

말 그대로 자신의 감정 상태를 ‘온도’처럼 수치화해서 측정·기록하는 자기 인식 도구입니다.
보통은 0~10점 또는 0~100점 범위를 사용하고, 감정 강도를 ‘온도’ 개념에 비유합니다.


▣ 측정 방법 단계별 예시

  1. 측정 기준 범위 정하기
    •   0점(빙점): 매우 차갑고 무기력하거나 우울한 상태
    •   5점(중간): 평온하고 안정된 상태
    •   10점(끓는점): 극도로 흥분·분노·스트레스가 큰 상태
      → 필요하면 본인 맞춤으로 범위 조정 가능
  2. 현재 감정 체크하기
    •   매일 아침, 점심, 저녁 같은 고정 시간에 자신에게 질문
    •   “지금 내 감정 온도는 몇 도 정도일까?”
    •   간단한 단어로 이유 기록
      예: "8점 – 업무 마감 압박", "3점 – 주말 아침의 여유"
  3. 시각화 도구 사용
    •   노트·다이어리에 온도계 그림을 그려 색칠
    •   스마트폰 앱(감정 추적 앱, 기분일기) 활용
    •   엑셀·구글시트로 날짜별 변화 그래프화
  4. 패턴 분석하기
    •   특정 요일, 상황, 사람, 장소에서 온도가 올라가는지 파악
    •   감정 온도가 높아질 때 진정시키는 ‘내 안정 루틴’ 기록
      (예: 깊게 호흡 3분, 커피 마시며 창밖 보기)

▣ 활용 포인트

  • 자기감정 인식력 향상 → 감정폭발 전에 조기 대응 가능
  • 멘탈 건강관리 지표 → 우울·불안 조짐을 수치로 파악
  • 코칭·상담 자료 → 전문가 상담 시 근거 데이터 제공
  • 목표 관리 → 감정 안정 목표 달성률 체크

▣ 활용법

  • 하루 세 번(아침·점심·저녁) 감정 온도 기록
  • 온도가 오르거나 내린 이유를 간단히 메모
  • 한 주, 한 달 단위로 변화를 살펴보고 원인 분석

▣ 마무리

감정을 수치로 기록하면,
마음이 변하는 패턴과 원인을 스스로 이해하게 됩니다.
그 이해가 쌓이면, 기분을 더 안정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힘이 생깁니다.

반응형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광고는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