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 9일 발표된 정부 정책 중에는 FAO 관련 언급도 있었습니다.
FAO는 국제 식량 가격 흐름의 기준으로 자주 인용되는데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FAO의 정체를 짚어드리고,
어제 발표된 내용을 바탕으로 투자 시사점까지 연결 분석해 드리겠습니다.
1. FAO란 무엇인가?
FAO는 유엔 식량농업기구(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로, 전 세계의 식량 안보 확보, 영양 상태 개선, 농림수산업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지원하는 UN 산하 전문기구입니다.
1945년에 설립되었고, 본부는 이탈리아 로마에 있습니다.
지금은 194개 회원국(194개 국가+EU)을 둔 국제기구의 중심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FAO는 매월 세계 식량 가격 지수를 발표하며, 전 세계 식품·농산물 가격 흐름을 실시간에 가깝게 보여주는 주요 지표 중 하나입니다.
항목 | 세부 내용 |
FAO 정체 | UN 산하 식량농업 전문기구, 기아퇴치·농업지속성 목표 |
기능 역할 | 데이터 플랫폼(FAOSTAT), 정책 자문, 기술지원 |
투자 시사점 | 식품업종·농업 ETF 리스크 관리 정보원 |
한국과의 연결 | 1949년 가입, 정책교류·데이터 기반 협력 |
1) FAO Food Price Index(FFPI)란?
- 정의: FAO(유엔 식량농업기구)가 발표하는 세계 식량지수로, 5대 식품 그룹(육류, 유제품, 곡물, 식용유, 설탕)의 국제 가격을 종합하여 산출하는 월간 가격지표입니다.
- 계산 방식: 기준연도(2014–2016)를 100으로 설정한 Laspeyres 지수 방식 사용. 지수가 100보다 크면 가격 상승, 100보다 작으면 하락을 의미합니다
- 2025년 7월 동향: 지수는 130.1로 전월 대비 1.6% 상승, 육류와 식용유의 가격 급등이 주요 요인으로 작용했습니다.
2) 시사점
항목 | 시사점 |
식품·소비재 업종 | 원가 부담 증가 우려—가격 전가력 높은 대기업 중심 선별 유리 |
농업·포장 소재 체인 ETF | 식량 가격 리스크에 따른 연관 테마 ETF 분산 투자 전략 |
리츠·배당주 | 인플레 기대 상승 → 금리 민감 자산 리스크 관리 필요 |
2. 농림축산식품부: FAO 세계식량가격지수 1.6% 상승(7월)
- 핵심 내용: FAO 지수가 전월 대비 1.6% 올라 유지류·육류가 상승, 곡물·유제품·설탕은 약보합/하락. 정부는 산지→소비지 전 과정의 수급 리스크 요인 상시 관리 방침을 밝혔습니다.
- 투자 시사점
- 주식: 원가 민감 업종(라면·가공식품·제과·급식)은 마진 변동성 체크 필요. 곡물·사료·포장자재 밸류체인은 단기 테마성 수급 가능.
- 채권/금리: 식품 물가 상방은 헤드라인 물가 기대를 자극—금리 하락 탄력 둔화 요소. 배당/리츠는 금리 민감도 재점검 권장.
- 예상 절차(타임라인):
- (행정) 월간 동향점검 및 수급관리 고도화 지속 집행(상시) → 필요 시 추가 보완대책 공지(수시).
3. 투자 인사이트
분야 | 시사점 |
식품 및 농산물 관련 주식 |
FAO 지수 상승 시 원가부담 확대 가능성 가격 전가력 있는 대형 가공식품 위주 선별 유리 |
농업 체인 ETF | 곡물·사료·포장 등 연관 ETF는 식량 수급 리스크 헤지 테마로 유용 |
채권 & 배당 리츠 | 식품 물가 상승은 헤드라인 인플레 기대 자극 → 금리 상방 가능성 있어 금리 민감 자산 조정 필요 |
4. 추천 ETF 리스트 – 농업·곡물 테마 중심
ETF명 | 설명 |
Invesco Agriculture Commodity Strategy No K‑1 ETF (PDBA) |
곡물, 육류, 소프트 커모디티 등 11개 농산물에 분산 투자; 세금보고 간소화(미 K‑1) |
iShares Global Agriculture Index ETF (COW) |
농업 생산, 비료, 기계, 가공식품 관련 글로벌 기업에 투자 |
Teucrium Wheat Fund (WEAT), Corn Fund (CORN), Soybean Fund (SOYB) 등 |
각각 밀·옥수수·대두 선물 기반 투자 상품으로, 곡물 개별 노출 가능 |
▣ 요약 정리
- FAO는 UN 산하 식량농업기구로, 식량안보·농정 데이터의 국제 기준입니다.
- 전일 발표는 FAO 지수 등 국제 식량 지표를 반영해 국내 수급 리스크 점검 계획이었습니다.
- 투자에서는 식품 대형주, 농식품 체인 ETF, 금리 민감 자산 관점에서 트레이딩 포인트가 확보됩니다.
반응형
'투자 인사이트 > 한국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250809) 불법하도급 단속+생숙 전환+대출규제 해명+바이오헬스 (10) | 2025.08.09 |
---|---|
(250808) 재정 속도전 + 거시공조 + 금융 디지털 전환 (4) | 2025.08.08 |
(250806) 對美 관세 대응 TF 출범, AI·바이오 중-장기 성장전략 TF 신설 (11) | 2025.08.06 |
(250803) 남북관계 긴장 속 평화 회복 메시지 및 중대재해 근절 (2) | 2025.08.03 |
(250801) 한‑미 무역 협상 타결, 법인세·주식투자세 인상 예정 (9) | 2025.08.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