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동산 완전정복/건축편10

[건축 #4] 지하층, 다락, 발코니는 면적에 포함될까? 면적 계산, 단순히 넓이 합이 아니다설계 도면상 분명히 표시된 공간인데,“이건 면적에 안 들어갑니다”라는 말을 들어보셨을 겁니다.☞ 지하층, 다락, 발코니처럼경계가 애매한 공간은 법적 기준에 따라 포함 여부가 달라지며, 허가·세금·감리 기준에서 각각 다르게 적용됩니다.▣ 지하층은 면적에 포함될까?답: 조건에 따라 포함/제외가 갈린다건축법상 “지하층”은 지표면에서 바닥까지 높이가 1/2 이상 잠긴 층연면적에는 포함되지만 용적률 계산 시 제외 가능 (지자체 조례 기준)※ 특히 지하주차장은 대개 용적률 제외 → 실질 건축가능 공간을 넓히는 대표 전략▣ 다락은 면적에 포함될까? 답: 높이와 구조에 따라 달라진다천장고가 1.5m 이하인 경우☞ 연면적·건축면적 모두 제외 가능계단 연결 여부, 창문 유무 등 추가 조.. 2025. 7. 11.
[건축 #3] 내 땅에 몇 층 건물이 가능할까? (실전 계산법) 건폐율과 용적률만 알면 설계의 80%는 끝난다건물을 지을 때 땅값보다 더 중요한 게 있습니다.바로 “이 땅에 몇 층까지 건물을 지을 수 있는가”입니다.☞ 단순히 면적이 넓다고 유리한 게 아닙니다.☞ 비율(건폐율·용적률) 제한을 고려하지 않으면 설계부터 허가, 수익 분석까지 모두 어긋납니다.▣ 계산에 필요한 기본 요소✔ 대지면적: 내가 보유한 땅의 전체 면적✔ 건폐율: 1층 건축 면적의 최대 비율✔ 용적률: 건물 전체 연면적의 최대 비율✔ 예상 층별 바닥면적: 실제 건축 도면의 기준이 되는 층별 면적▣ 실전 계산 예시 ①대지 300㎡, 건폐율 60%, 용적률 180% 기준건축면적 = 300㎡ × 60% = 180㎡→ 1층 바닥면적은 180㎡까지 가능연면적 = 300㎡ × 180% = 540㎡→ 전체 .. 2025. 7. 10.
[건축 #2] 대지면적, 연면적, 바닥면적, 건축면적… 무슨 차이죠? 건축 도면을 봐도 무슨 면적인지 모르겠다면?건축도면을 펼치면 다양한 ‘면적’이 등장합니다.대지면적, 건축면적, 바닥면적, 연면적…☞ 이 단어들의 의미를 혼동하면설계는 물론 허가, 세금, 수익성 분석까지 모두 엉켜버립니다.이번 편에서는 건축의 4대 면적 개념을가장 명확하게 구분해서 설명합니다.▣ 대지면적: 설계의 출발점 내가 보유한 땅 전체의 면적토지대장·등기부등본에 표시된 ‘지번 기준 면적’도로, 공원 등 공공면적을 제외한 실사용지 기준 아님건축가능면적(건폐율, 용적률)은 이 면적을 기준으로 계산됨☞ 건폐율·용적률 계산의 ‘모(母)’가 되는 절대 기준▣ 건축면적: 1층 기준 바닥 넓이 지상 1층의 건물 외곽 기준 면적외벽 중심선 기준으로 면적 측정주차장·보일러실 등도 포함됨지붕 있는 차.. 2025. 7. 9.
[건축 #1] 건폐율 vs 용적률, 이 두 개념만 알면 건축이 보인다 건축의 핵심은 ‘비율’이다건축을 계획할 때 가장 먼저 부딪히는 질문은“이 땅에 얼마나 지을 수 있는가?”입니다.이 질문에 정답을 주는 것이바로 건폐율과 용적률입니다.☞ 이 두 비율만 정확히 이해하면, 설계 가능 범위부터 수익성 예측까지 가능해집니다.▣ 건폐율이란?대지면적 중 1층 건축면적이 차지하는 비율계산식 : 건축면적 ÷ 대지면적 × 100건축면적 : 1층 외곽선 기준 바닥 면적조경, 주차장, 마당 확보 여부에 영향을 미침예시: 대지 200㎡ × 건폐율 60% = 1층 120㎡까지 가능✔ 건폐율이 높으면 넓은 평면 설계 가능✔ 낮을수록 여유 공간 확보에 유리▣ 용적률이란?대지면적 대비 전체 건물 연면적의 비율계산식: 연면적 ÷ 대지면적 × 100연면적: 지상 모든 층의 바닥 면적 합예시: 대지.. 2025. 7. 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