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 테크놀로지/IT 인물33 [CEO #21] 루치 (Lu Qi) - 실리콘밸리와 중국 AI를 연결한 다리 두 세계를 잇는 AI 아키텍트루치(Lu Qi)는 미국과 중국 양국의 IT 대기업을 모두 경험한 AI 전문가다. 마이크로소프트에서 Bing의 개발을 주도하고, MS의 AI·검색 부문 부사장까지 오른 뒤, 2017년 중국 바이두(Baidu)로 자리를 옮겨 회사의 AI 전환을 총지휘한 바 있다.미국 시애틀에서의 엔지니어링 경험중국 베이징에서의 AI 전략 수립실리콘밸리에서의 스타트업 투자자 경력까지그의 커리어는 기술과 전략, 그리고 양국 간 디지털 전환의 가교 역할 그 자체라 할 수 있다.▣ 어떤 전략인가 – 연구 중심에서 제품 중심으로그가 바이두에서 주도한 변화는 명확했다.AI First 전략: 모든 서비스를 AI 기반으로 전환Apollo 프로젝트: 자율주행차 플랫폼 런칭DuerOS 플랫폼: 음성 인터페이스를.. 2025. 7. 18. [CEO #20] 아라빈드 크리슈나 - 초거대 AI보다 현명한 AI, 왓슨의 다음 걸음 IBM의 AI 드라이버, 아라빈드 크리슈나아라빈드 크리슈나(Arvind Krishna)는 IBM의 현 CEO이자, 회사 역사상 가장 공격적인 AI·하이브리드 클라우드 전환을 추진한 인물이다. 그는 인도 태생의 엔지니어 출신으로, 1990년대 IBM 연구소에 입사해 왓슨(Watson) 프로젝트, Red Hat 인수, 양자컴퓨팅 개발까지 주도하며 IBM의 ‘기술 중심 전환’을 이끌어왔다.그가 강조하는 방향은 단순한 기술 전시가 아니라, “AI를 실제 산업에 어떻게 잘 녹여낼 것인가”*에 집중되어 있다.▣ 어떤 전략인가 – 초거대보다는 ‘현명한’ AI크리슈나가 이끄는 IBM의 AI 전략은 다음과 같은 원칙을 따른다:산업 특화형 AI (WatsonX)→ 의료, 금융, 법률, 제조 등에 맞춤화된 AI 모델 제공설.. 2025. 7. 17. [CEO #19] 크리스토발 발렌수엘라 - 영상 AI의 미래를 말하다: 크리에이터의 무기 예술가를 위한 AI 툴을 만드는 창업자크리스토발 발렌수엘라(Cristóbal Valenzuela)는 칠레 출신의 기술 예술가이자, 영상 기반 AI 툴인 Runway ML의 공동 창업자이자 CEO다. 그는 컴퓨터 과학과 시각 예술, 디자인이라는 다학제적 배경을 바탕으로, "누구나 쉽게 콘텐츠를 만들 수 있어야 한다"는 철학을 지녔다.Runway는 Stable Diffusion, Gen-2, Motion Brush 같은 첨단 영상 생성 모델을 선보이며, 전문 영상 제작자뿐 아니라 유튜버, 영화 제작자, 크리에이터들에게 널리 사용되고 있다.▣ 어떤 기술인가 – 영상 생성 AI의 선두주자크리스토발의 핵심 전략은 다음과 같다:텍스트 → 영상 변환: “사막을 배경으로 달리는 로봇”을 입력하면 AI가 자동으로 동영상.. 2025. 7. 16. [CEO #18] 인리 – 얼굴인식의 선두주자, 감시냐 기술이냐의 경계에서 중국 얼굴인식 기술의 선두주자, 인리인리(尹琦, Yin Qi)는 중국의 대표적인 AI 유니콘 기업 메그비(Megvii, 旷视科技)의 공동창업자이자 CEO입니다.그의 이름은 일반 대중에게는 생소할 수 있지만, AI 얼굴인식 분야에서 세계적인 영향력을 가진 기술 리더입니다.그가 이끄는 메그비는 ‘Face++’라는 얼굴인식 API 플랫폼을 통해 중국 내 수많은 보안 시스템, 스마트폰, 금융기관 등에 기술을 제공해왔습니다.▣ 메그비의 탄생 – 베이징대 박사들의 도전2011년, 베이징대학교 출신 3명의 박사팀이 설립한 메그비는 초기에는 AI 알고리즘 개발에 집중했지만, 곧 얼굴인식 기술의 상용화에 성공하며 빠르게 성장했습니다.인리는 기술력을 산업에 빠르게 접목시키는 데 집중했고,금융, 공공보안, 스마트시티 등 정.. 2025. 7. 15. [CEO #17] 댄 시로커 – 기억을 되돌리는 기술, 뇌형 AI의 시작 ‘기억을 위한 기술’을 만든 이유댄 시로커(Dan Siroker)는 원래 데이터 분석 전문가이자, 오바마 캠프의 디지털 전략가로 활동했던 인물입니다. 하지만 그의 인생을 바꾼 건 부모의 청각장애와 기억력 감퇴 문제였습니다.그는 기술이 단순히 효율을 높이는 도구가 아니라, 인간의 감각과 기억을 확장하는 동반자가 될 수 있다고 믿었죠.그래서 창업한 회사가 바로 Rewind AI. 이곳에서 그는 일상 전체를 기억하는 개인형 AI라는 새로운 영역을 개척하고 있습니다.▣ Rewind AI: 당신의 ‘두 번째 기억’Rewind AI는 사용자의 화면, 음성, 문서, 이메일, 웹사이트 등 모든 활동을 기록하고, 그 기록을 시간순·문맥순으로 AI가 분석하여 되돌려주는 시스템입니다.사용자는 “지난주 회의에서 언급한 보고서.. 2025. 7. 14. [CEO #16] 다리오 아모데이 – 안전한 AI를 향한 독립 실험실, 클로드의 창조자 Anthropic의 탄생, 그리고 아모데이의 독립 선언다리오 아모데이(Dario Amodei)는 원래 OpenAI의 핵심 연구원이었습니다. GPT-2, GPT-3 프로젝트의 리더 중 한 명이었고, 강력한 언어 모델의 위험성과 가능성을 누구보다도 가까이에서 본 인물이죠.2021년, 그는 OpenAI를 떠나 Anthropic이라는 새로운 회사를 공동 설립합니다. 이유는 단 하나. "AI가 인간에게 위협이 되지 않도록, 안전하고 신뢰 가능한 AI를 만들어야 한다"는 신념 때문이었습니다.Anthropic은 AI의 안전성과 투명성을 핵심 철학으로 삼습니다. 그리고 그 첫 결과물이 바로 대화형 AI 모델 Claude 시리즈입니다.▣ Claude: 인간다운, 그러나 신중한 AI의 실험Anthropic이 개발한 Cla.. 2025. 7. 13. [CEO #15] 아르튀르 멩슈 - 유럽판 GPT 도전기, 미스트랄 CEO의 야망 아르튀르 멩슈(Arthur Mensch), 유럽 AI의 반격을 이끄는 젊은 리더1. 파리의 수재, 구글 딥마인드를 떠나다아르튀르 멩슈는 프랑스 엘리트 교육의 상징인 École Normale Supérieure에서 수학과 생물정보학을 공부한 뇌과학 전공자입니다. 이후 구글 딥마인드에서 연구원으로 일하며 AlphaFold 프로젝트에 기여했죠.하지만 그는 구글 내부에서 점점 커지는 "AI의 비대칭 권력"에 문제의식을 느끼기 시작합니다. 유럽은 언제까지 미국의 모델을 소비만 해야 할까? 그는 고심 끝에 회사를 떠나 창업을 결심합니다.2. 미스트랄(Mistral)의 등장 – 모델은 공개하되 품질은 챔피언급으로2023년 프랑스 파리. 아르튀르 멩슈는 구글, 메타 출신 동료들과 함께 ‘미스트랄(Mistral AI)’.. 2025. 7. 12. [CEO #14] 리카이푸 – 실리콘밸리와 중화권을 잇는 AI 전도사 1. 베이징과 실리콘밸리를 잇는 다리리카이푸 (Kai-Fu Lee, 李开复) 는 AI의 개척자이자 중재자로서 세계 기술 중심지 두 곳, 실리콘밸리와 중화권을 연결해온 인물이다. 그는 애플, SGI, 마이크로소프트, 구글 등에서 일하며 음성 인식, 검색 기술, 사용자 인터페이스 등 다양한 분야의 R&D를 이끌었고, 이후 中 AI 투자와 인재 육성의 대표 인물로 떠올랐다.출생: 1961년, 대만 타이베이주요 경력: 애플 – 마이크로소프트 – 구글 차이나 초대 대표 – 시노베이션 벤처스 CEO대표 저서: 『AI 슈퍼파워』, 『AI 2041』 등2. 시노베이션 벤처스 – 중국의 AI 창업 허브2009년 그는 실리콘밸리를 떠나 시노베이션 벤처스(Sinovation Ventures)를 창업했다.이 회사는 중국 내 .. 2025. 7. 11. [CEO #13] 앤드류 응 – 모두를 위한 AI, 앤드류 응의 교육 혁명 1. AI를 세상에 알린 남자, 앤드류 응앤드류 응(Andrew Ng)은 AI 기술이 일부 과학자들의 실험실을 넘어 모두에게 열려 있는 학습과 실천의 도구가 될 수 있음을 증명한 인물입니다.스탠퍼드 대학교 교수이자구글 브레인(Google Brain) 공동 창립자이며바이두(Baidu) 수석 과학자 출신입니다.그는 AI를 "모든 사람을 위한 기술"로 확산시키기 위해온라인 교육 플랫폼 '코세라(Coursera)'를 공동 설립했고,수백만 명이 머신러닝과 딥러닝을 접할 수 있도록 도왔습니다.2. AI를 배운다는 것의 의미를 바꾼 사람그의 대표 강좌인 “머신러닝(Machine Learning)”은AI 입문자들에게 있어 사실상 ‘정석 교재’처럼 인식됩니다.앤드류 응은 교육 콘텐츠를 통해 기술을 단순히 전달하는 것을 .. 2025. 7. 10. [CEO #12] 장야친-AI는 과학이다, 산업이다, 그리고 교육이다 1. 마이크로소프트에서 바이두까지 – 글로벌 리더의 귀환장야친은 중국 출신의 세계적인 기술 리더입니다.MIT에서 전자공학 박사 학위를 받은 그는,30세에 마이크로소프트 리서치 아시아(MSRA)의 초대 소장이 되었고 수많은 AI 연구자들을 배출한 전설적인 리더로 불립니다.그가 이끈 MSRA는 AI 연구를 산업화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든 첫 조직 중 하나였으며 2000년대 이후 아시아권 AI 인재 양성의 핵심 거점이기도 했습니다.2014년, 그는 중국의 검색엔진 바이두(Baidu)로 자리를 옮겨 사장급 임원으로 자율주행, 음성인식, 지식그래프 등 핵심 AI 기술을 총괄합니다.2. AI의 철학: “기술은 인간을 이롭게 해야 한다”장야친은 AI를 과학으로 접근하되, 인간 중심으로 풀어야 한다는 신념을 가지고 있.. 2025. 7. 9. 이전 1 2 3 4 다음 이 광고는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