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이 곧 희망입니다”
건강은 누구에게나 가장 큰 자산입니다.
특히 시니어 세대에겐 질병 예방이 곧 삶의 질을 결정합니다.
2025년부터 국가가 제공하는 무료 건강검진 제도가
더 다양해지고 실질적으로 강화되었습니다.
▣ 국가 무료 건강검진 제도란?
- 국민건강보험공단이 매년 시행하는 공적 건강관리 서비스
- 일정 연령 이상 또는 저소득층에게
검진비 전액 또는 일부 지원 - 보건소, 지정 병원에서 검진 가능
▣ 시니어 대상 주요 검진 항목 (2025년 기준)
항목 | 내용 | 주기 |
일반 건강검진 | 혈압, 혈당, 고지혈증 등 | 2년에 1회 |
암 검진 | 위암, 대장암, 간암, 유방암, 자궁경부암 | 연 1회 또는 2년 1회 |
인지기능 검사 | 치매 선별 검사 (KDSQ-C) | 만 66세 이상 2년마다 |
구강검진 | 치아 상태, 잇몸병 등 확인 | 2년에 1회 |
안과검진(신설) | 만 70세 이상 백내장·녹내장 검사 추가 | 2년에 1회 |
폐렴구균 예방접종 | 만 65세 이상 1회 접종 권장 | 생애 1회 |
▣ 검진 대상자 기준 요약
구분 | 조건 |
건강보험가입자 | 지역가입자 및 직장가입자 중 하위 50% 소득자 |
의료급여수급자 | 전체 대상자 검진 대상 포함 |
만 66세 이상 | 인지기능 검사 및 암 검진 등 자동 대상자 지정 |
만 70세 이상 | 백내장 등 안과검진 항목 추가 지원 |
※ 직장인 시니어(퇴직 전) 도 검진 대상에 포함되며,
퇴직 후엔 지역가입자 혹은 피부양자로 변경되면 보건소 또는 위탁병원에서 이용 가능
▣ 검진 예약 및 이용 방법
- 우편 통지 확인: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발송하는 ‘건강검진 안내문’ 수령 - 가까운 병원 예약:
검진 가능 병원은 공단 홈페이지에서 확인 또는 전화 문의 - 신분증 지참 후 방문
일부 항목은 공복 상태 필요하니 주의
▣ 검진 후 혜택 및 연계 서비스
- 건강위험군 판단 시 건강관리 프로그램 연계
- 치매 고위험군 발견 시 치매안심센터 자동 연계
- 추가 진료 필요한 경우, 병원 진료로 연계 권장
▣ 시니어가 놓치기 쉬운 3가지 포인트
- 본인이 대상자인지 꼭 확인 후 예약
- 안과·치매 등 항목은 연령 기준별로 자동 적용
- 생애 전환기 건강검진은 만 66세 생일 해에만 제공
▣ 관련 사이트 바로가기
- ☞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검진: https://www.nhis.or.kr/
- ☞ 건강검진 통합안내센터: ☎ 1577-1000
- ☞ 중앙치매센터 정보: https://www.nid.or.kr
- ☞ 질병관리청 예방접종: https://nip.kdca.go.kr
▣ 마무리
“건강을 챙기는 것이 가족을 지키는 길”
건강검진은 단순한 ‘검사’가 아닙니다.
미리 알면, 더 오래 함께할 수 있는 기회입니다.
주저 말고, 지금 내 몸을 확인해 보세요.
코시팅은
당신이 놓치지 말아야 할 혜택을
늘 가장 따뜻하고 정확하게 전해드릴 것입니다.
반응형
'K-시니어 디딤정보 > 정부 지원 정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거급여 신청자격과 2025년 금액 기준 (3) | 2025.08.02 |
---|---|
기초생활수급자와 차상위계층, 그 차이는? (2) | 2025.08.01 |
장기요양보험 등급별 혜택과 신청 방법 (0) | 2025.07.31 |
시니어 창업 지원 정책 총정리 (정부 + 지자체) (1) | 2025.07.30 |
기초연금, 누가 얼마나 받을 수 있나? (3) | 2025.07.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