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부터라도 내 일을 시작해보고 싶어요”
시니어 창업은 단지 생계가 아니라,
삶의 경험과 열정을 다시 세상과 나누는 두 번째 인생의 출발점입니다.
이 글은 정부·지자체의 창업 지원 정책을 한눈에 정리한 안내서입니다.
읽는 분들이 "어디서, 어떤 도움을 받을 수 있는지"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구성했습니다.
1. 중소벤처기업부 「신중년·시니어 창업 지원 패키지」
- 대상: 만 40세~69세의 퇴직(예정)자, 장년층 중 예비 창업자
- 지원 내용:
- 창업 교육 (창업기초→사업모델 구체화)
- 최대 1억원의 창업 사업화 자금 지원
- 창업공간 제공 (창업보육센터·메이커스페이스 등)
- 2025년 사업 일정: 상반기(3월) + 하반기(8월) 공고
- ☞ 중소벤처기업부 공고 확인
2. 고용노동부 「신중년 경력형 창업 지원」
- 대상: 경력 또는 자격을 보유한 50~70세 장년층
- 지원 내용:
- 경력 활용형 창업(컨설팅, 교육, 사회서비스업 등)에 인건비 일부 보조
- 창업 컨설팅 및 경영 코칭 지원
- 신청 시기: 지역 고용센터 및 지방정부 별도 공고
- ☞ 고용24 창업 프로그램 안내
3. 보건복지부 「노인일자리 창업형 사업」
- 대상: 만 60세 이상 시니어, 사회적 협동조합 가능
- 지원 내용:
- 창업형 일자리 모델 구축 지원 (카페·공방·수리센터 등)
- 초기 창업자금 및 공간 확보 연계
- 운영기관: 각 지역 노인복지관 / 시니어클럽
- ☞ 노인일자리 정보시스템
4. 지자체별 시니어 창업 지원 프로그램 (예시)
지역 | 사업명 | 내용 |
서울시 | 시니어 창업센터 | 입주 공간 제공 + 맞춤 컨설팅 |
경기남부 | 50+ 창업학교 | 팀별 프로젝트 중심 실전 창업 |
부산시 | 장년·노인 창업교육 | 창업기초 및 마케팅 교육 무상 제공 |
전라북도 | 노인 사회참여형 창업 | 전통시장형 창업모델 집중 육성 |
☞ 각 시·도 홈페이지 또는 시니어클럽, 창조경제혁신센터 공고 확인 필요
5. 창업정보 통합 포털 모음
☞ 대한노인회 각 지역연합회 (예 대한노인회 서울시연합회, 대한노인회 경기연합회 등)
마무리
"이제, 내 이름으로 도전해보세요"
시니어 창업은 더는 특별한 사람들만의 이야기가 아닙니다.
내가 가진 기술, 경험, 아이디어를 사회에 나누는
따뜻하고 현명한 경제활동의 시작입니다.
코시팅(K-Senior fighTing)은
“시니어가 다시 뛰는 사회, 손잡고 함께 걷는 플랫폼”입니다.
실질적인 정보와 정서적 응원,
그 두 가지를 함께 전하겠습니다.
반응형
'K-시니어 디딤정보 > 정부 지원 정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기요양보험 등급별 혜택과 신청 방법 (0) | 2025.07.31 |
---|---|
기초연금, 누가 얼마나 받을 수 있나? (1) | 2025.07.29 |
2025년 달라지는 노인복지 정책 7가지 총정리 (3) | 2025.07.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