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동산 완전정복/입문편

[입문편 #1] “이 말 몰랐다간 큰일 납니다”

by 코시팅(K-Senior fighTing) 2025. 6. 25.
반응형

부동산 필수 용어 TOP10, 알기 쉽게 정리해드립니다

부동산은 내 인생에서 가장 비싼 '쇼핑'입니다.
그런데 이 중요한 거래에 나설 때 ‘지적공부’, ‘갑구’, ‘근저당’ 같은 용어들이 쏟아지면 일단 주춤하게 되죠.

오늘은 부동산에 대해서 반드시 알아야 할 핵심 용어 10가지를 쉽고 명확하게 정리해드립니다.

부동산 필수용어 TOP 10
부동산 필수용어 TOP 10


1. 지적공부

‘지적공부’는 토지의 정보가 들어 있는 ‘공식 장부’입니다.
여기에는 토지대장, 임야대장, 지적도, 경계점좌표등록부 등이 포함되죠.
→ 이걸 보면 땅의 위치, 면적, 지목, 소유자, 사용 목적까지 알 수 있습니다.


2. 지번과 지목

  • 지번: 땅의 ‘주소번호’입니다. 동과 번지로 표현되죠.
  • 지목: 토지의 용도입니다. 예: ‘대(건축 가능 땅)’, ‘답(논)’, ‘임(산)’ 등
  • → 집을 지을 수 있는 땅인지 아닌지, 지목을 보고 판단할 수 있습니다.

3. 필지

‘한 덩어리의 땅’을 말합니다.
1필지에는 하나의 지번과 하나의 지목이 부여됩니다.
→ 여러 필지를 합쳐서 개발하거나 분할할 수도 있죠.


4. 토지이용계획확인서

이건 부동산 투자의 ‘엑스레이’입니다.
땅이 어떤 용도지역·용도지구에 속해 있는지, 건축 가능 여부 및 용도제한 등을 볼 수 있습니다.
→ 정부24나 토지이음(eum.go.kr)에서 무료 열람 가능!


5. 등기부등본 (표제부·갑구·을구)

  • 표제부: 토지/건물의 기본 정보
  • 갑구: 소유권 관련 정보 (매매, 상속 등)
  • 을구: 권리 관계 (근저당, 전세권, 가등기 등)
  • → 등기부 등본은 ‘권리관계의 주민등록등본’입니다.

6. 근저당권

대출을 받을 때 은행이 설정하는 담보권입니다.
예: “이 집엔 1억짜리 근저당이 잡혀 있다” → 은행이 먼저 가져갈 권리가 있다는 뜻.
을구에 기재되므로 필수 확인 항목입니다.


7. 가등기

아직 확정되지 않은 권리를 '예약'해 놓는 등기입니다.
예: 소유권이전 예정이지만 잔금 지급 전 단계에서 가등기를 해두는 경우.
→ 나중에 순위를 지키기 위한 법적 장치입니다.


8. 전용면적 vs 공급면적

  • 전용면적: 내가 실제로 쓰는 내부 공간
  • 공급면적: 전용면적 + 계단/복도 같은 공용공간 포함
  • → 분양가는 보통 공급면적 기준, 실거주는 전용면적 기준

9. LTV, DTI, DSR

  • LTV: 주택 가격 대비 대출 가능 비율
  • DTI: 소득 대비 ‘이자’ 상환 비율
  • DSR: 소득 대비 ‘전체 원리금’ 상환 비율
  • → DSR이 가장 강력한 규제입니다. 대출 한도에 핵심 영향.

▣ 10. 청약가점제

무주택기간, 부양가족 수, 청약통장 가입기간 등으로 청약 순위가 정해집니다.
→ 공공분양/민간분양 모두 적용되며, 당첨 가능성을 좌우합니다.


▣ 마무리 정리

용어 핵심포인트
지적공부 토지 정보 장부, 정부24에서 확인
등기부등본 소유권·담보권 등 확인
LTV/DTI/DSR 대출 가능성 판단 지표
청약가점제 청약 당첨 확률 계산 기준
 

▣ 다음 편 예고

“지번? 지목? 필지? 이건 무조건 알아야 할 차이입니다!”

[입문편 시리즈 #2]에서 다뤄드립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