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동산 완전정복/입문편

[입문편 #6] “청약 가점 계산, 어렵게 하지 마세요”

by 코시팅(K-Senior fighTing) 2025. 6. 28.
반응형

무주택자라면 꼭 알아야 할 3단계 청약 가점 계산법

아파트 청약 당첨을 꿈꾸는 분들이라면 한 번쯤 이런 질문을 해보셨을 겁니다.

“내 가점이 몇 점인지 모르겠어요”
“당첨되려면 몇 점은 돼야 할까요?”

하지만 막상 ‘무주택기간’, ‘부양가족 수’, ‘청약통장 가입기간’ 계산을 하려면
복잡한 규정과 조건 때문에 포기하게 되기도 하죠.
오늘은 누구나 따라 할 수 있도록 3단계 청약 가점 계산법을 알려드립니다.

“청약 가점 계산, 어렵게 하지 마세요”
“청약 가점 계산, 어렵게 하지 마세요”


1. 청약 가점제란?

“추첨이 아니라, 점수로 승부 보는 제도입니다.”

청약 가점제는 일정 조건을 충족한 사람에게 점수를 부여하고,
점수가 높은 사람 순서대로 당첨자를 정하는 제도입니다.
주로 공공분양민간분양 중 일반공급에서 적용됩니다.


2. 청약 가점 계산 3요소 (총 84점 만점)

항목 점수 기준
무주택기간 최대 32점 최장 15년 이상 유지 시
부양가족 수 최대 35점 배우자, 자녀, 부모 등
청약통장 가입기간 최대 17점 15년 이상 가입 시
 
실질적으로 60점 이상이면 고득점자로 분류됩니다.

서울 등 인기지역은 평균 당첨가점이 65~75점대인 경우도 많습니다.


3. 실전 청약 가점 계산법

   ① 무주택기간 (최대 32점)

  • 무주택 기간은 본인과 배우자가 모두 무주택일 경우를 기준으로 계산
  • 만 30세 또는 혼인일 중 빠른 시점부터 계산 시작
기간 점수
1년 미만 2점
3년 이상 ~ 5년 미만 10점
15년 이상 32점
   예: 만 30세 이후 계속 무주택 상태 12년 → 28점

  ② 부양가족 수 (최대 35점)

  • 주민등록상 동일세대에 포함된 가족만 인정
  • 배우자, 미혼 자녀, 부모, 조부모 등 가능 (단, 세대주 기준)
가족 수 점수
없음 5점
1명 10점
2명 15점
3명 20점
6명 이상 35점
   예: 배우자 + 자녀 2명 → 총 3명 → 20점

  ③ 청약통장 가입기간 (최대 17점)

  • 주택청약종합저축 기준
  • 월 2회 이상 납입은 1회로 간주
  • 1년에 12회 이상 납입 시 '1년' 인정
기간 점수
1년 미만 1점
6년 이상 ~ 10년 미만 12점
15년 이상 17점
   예: 2010년 가입, 월 1회 꾸준히 납입 → 17점

▣ 가점 예시 계산 (실제 사례)

  • 무주택기간: 12년 (28점)
  • 부양가족: 3명 (20점)
  • 청약통장: 15년 이상 (17점)
    👉 총 가점: 65점

서울 강남권 일반공급 당첨 커트라인이 70점 이상이므로
이 경우 “유망지역 당첨은 쉽지 않지만 수도권 외곽은 충분히 가능” 수준입니다.


4. 가점 외의 유의사항

  • 추첨제 vs 가점제 구분 필수
    → 민간분양은 일부 물량(40~50%)을 추첨제로 공급
  • 생애최초·신혼부부 특별공급은 별도 기준 적용
  • 동일 세대 내 청약 중복 제한 있음

5. 가점 계산기 추천 사이트


마무리 정리

“가점제는 준비된 사람에게 기회가 오는 제도입니다.”

오늘 확인한 3가지 항목만 미리 점검해도
내 가점이 어느 수준인지, 어떤 전략이 필요한지 명확하게 보입니다.


다음 편 예고

“공공분양 vs 민간분양 vs 특별공급… 어떻게 다를까요?”

[입문편 시리즈 #7]에서는 청약 제도 유형별 차이와 전략적 접근법을 안내해드립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