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득세4 [부동산세금 #9] 분양권 전매 시 주의사항과 세금 구조 분양권, 이제는 ‘부동산’입니다2021년 이후 분양권은 더 이상 단순한 권리가 아닌‘부동산’으로 과세되는 자산으로 분류됩니다.☞ 그 결과, 양도세, 종부세, 취득세, 증여세 등 다양한 세금의 영향을 받게 됩니다.1. 분양권 전매 시 양도세 구조 항목 적용 세율 (2024년 기준) 1년 미만 보유70%2년 미만 보유60%2년 이상 보유 (일반)기본세율 (6~45%)조정대상지역 다주택자중과세율 최대 75%까지√ 2023년 세법 개정 후, 1년 미만 보유 시 최대 70% 중과√ 2년 이상 보유 시 일반세율 전환, 단 분양권은 대개 실입주 전 매도 → 대부분 중과 적용2. 전매 제한 풀린 뒤, 팔아도 괜찮을까?☞ “전매 제한이 풀렸다고 다 파는 건 위험할 수 있습니다.”입주 전 전매는 실거주 실현 불가 → 보.. 2025. 7. 18. [부동산세금 #3] 취득세는 언제, 얼마나 내나요? (실전 사례로 이해하기) 집을 사자마자 내야 하는 첫 세금, ‘취득세’집을 사면 등기하기 전 반드시 내야 하는 것이 바로 취득세입니다.“취득가의 1~3% 아니야?”라고 생각하신다면절반만 아신 겁니다.☞ 주택 수, 조정지역 여부, 법인 명의, 증여인지 매매인지에 따라 세율은 1.1%부터 13.4%까지 다양하게 바뀝니다.1. 기본 세율: 1주택자의 경우실거래가 6억 원 이하: 1.0%6억~9억 원: 2.0%9억 원 초과: 3.0%√ 여기에 지방교육세(0.1~0.3%)와 농어촌특별세 등이 붙어 실질 총세율은 약 1.1%~3.5% 수준2. 다주택자는 중과세율 적용 조정대상지역 여부 주택 수 취득세율 비조정지역2주택1~3% (기본)조정지역2주택8%조정지역3주택 이상12%법인 명의 취득전국12%※ 여기에 지방교육세 등 포함 시 총세율 .. 2025. 7. 12. [토지 #10] 재산세·종부세·양도세·취득세 구조와 절세 전략 핵심 5가지 토지를 사면 반드시 세금과 마주하게 된다토지는 사고, 보유하고, 팔기까지 세금이 따라붙는 구조입니다. 그런데 대부분은 “언제, 어떤 세금이, 왜 나오는지”를 정확히 모른 채 거래하거나 보유합니다. 이 글에서는 "토지와 관련된 4대 세금 구조"를 명확히 설명하고, 절세 전략 5가지 핵심 포인트를 정리해드립니다. ▣ 토지 관련 4대 세금 구조 세금 종류 발생 시점 산정 기준 주요 특징 취득세토지 매입 시취득가액 또는 시가표준액일시 납부, 농지·상속 시 감면 가능재산세매년 6월 1일기준 보유개별공시지가 × 공정시장가액비율7월, 9월 분할 납부종합부동산세공시지가 합산 기준 초과 시공시지가 합산 5억원 초과 시 발생토지 단독 보유자도 대상 가능양도소득세토지 매도 시양도차익 = 양도가액 - 취득가액 - 필요경.. 2025. 7. 11. [부동산세금 #1] 세금, 거래할 때마다 다르다? – 부동산 세금의 3단 구분법 왜 부동산 세금은 상황마다 달라질까?아파트를 살 땐 취득세,팔 땐 양도소득세,가지고만 있어도 보유세(재산세·종부세) “세금이 너무 복잡하다”는 말은 맞습니다.하지만 그 복잡함도 기본 구분법 하나면 깔끔히 정리됩니다.1. 취득할 때 – ‘취득세’ 중심의 초기 비용부동산을 살 때 내는 대표 세금취득금액, 주택 수, 지역, 계약 형태 등에 따라 세율이 달라짐√ 기본세율은 1~3%이나, 다주택자 또는 법인 매수 시 최대 13.4%까지 증가예시)무주택 세대의 생애최초 주택 구입 → 감면 혜택 가능조정대상지역의 2주택 보유자 → 중과세 적용2. 보유할 때 – ‘보유세’라는 이름의 정기 비용 세목 주요 내용 재산세매년 6월 1일 기준 보유자에게 과세 (지자체 부과)종합부동산세일정 기준 이상(공시가격 기준 9억/12.. 2025. 7. 10.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