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0724) 특별재난지역 선포 × 한·미·카·스웨덴 동시 외교행보
7월 23일, 정부는 집중호우 피해지역을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하고, 한·미·카·스웨덴 등과의 외교·통상 네트워크 강화를 동시에 추진했습니다.이 움직임은 인프라 지원, 수출심리 개선, 글로벌 협력 기대 등을 통해 건설·리츠·수출 품목에 새로운 기회를 열고 있습니다. ▣ 특별재난지역 선포 – 인프라 복구 예산 본격화핵심 내용: 가평, 서산, 예산, 담양, 산청, 합천 등 6개 지역을 특별재난지역으로 지정, 중앙·지방 예산 및 세제 감면 지원 지시 예상 일정:지정 즉시 → 국비 및 세감면 지원 시행하반기 인프라 안전 및 피해 복구 사업 예산 집행투자 포인트:건설 리츠, 안전 인프라 설비·자재·장비주 실적 기대복구 수요에 따른 공공 프로젝트 관련주 단기 모멘텀 가능▣ 대외 외교 강화 – 한·미·카·스웨덴 통..
2025. 7. 24.
[펀더멘털 #6] 금리 인상기 vs 금리 인하기 – ETF 리밸런싱 전략
“금리가 오르면 채권 ETF는 무조건 손해?”“금리 내리면 성장주가 더 오른다?”그렇다면, 금리 흐름에 따라 내 ETF 포트폴리오를 어떻게 조정해야 할까요?이번 콘텐츠에서는 금리 사이클의 구조와 이에 따라 달라지는 ETF 리밸런싱 전략을 실전 중심으로 정리합니다.▣ 금리 인상기 vs 인하기, 시장은 어떻게 반응할까? 금리 사이클 시장 반응 주요 자산 흐름 금리 인상기유동성 축소, 자금 이탈성장주 ↓, 금융주 ↑, 채권 ↓금리 인하기유동성 회복, 자금 유입성장주 ↑, 기술주 ↑, 채권 ↑☞ 핵심은 금리 흐름이 자산의 '밸류에이션 프리미엄'에 직접 영향을 준다는 점입니다.▣ 금리 인상기에 강한 ETF 전략금융주 ETF (XLF, KBWB)예대마진 확대, 금리 상승 수혜가치주 중심 ETF (VTV, IWD..
2025. 7. 14.
(2025.07) 글로벌 경기 사이클에 따른 자산 흐름 시나리오
경기 흐름을 읽으면 자산의 이동 방향이 보인다투자는 타이밍보다 방향입니다.그 방향을 알려주는 것이 바로 ‘글로벌 경기 사이클’입니다.2025년 현재, 미국과 유럽 경제는 고금리 피크를 지나 완만한 둔화 국면으로 진입 중입니다.이제 우리는 “지금이 어떤 사이클 국면이고, 어떤 자산에 집중해야 하는지” 판단해야 할 때입니다. ▣ 글로벌 경기 사이클의 4단계 단계 경기 상황 금리 흐름 추천 자산 1. 회복기GDP 반등, 실업률 개선금리 인하 초입주식(성장주), 원자재, 리츠2. 확장기소비 증가, 기업실적 개선금리 인상 시작주식(가치주), 하이일드채권3. 과열기인플레이션 상승, 임금 증가금리 인상 지속원자재, 인플레 보호 채권4. 둔화기경기 정체, 소비 위축금리 인하 논의채권, 금, 현금성 자산 현재는 ‘..
2025. 7.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