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New 테크놀로지104

[CEO #10] 데미스 하사비스– 천재 체스소년, AI로 생명의 비밀을 풀다 1. 천재 소년의 시작, 체스와 뇌과학 사이에서데미스 하사비스는 단순한 과학자가 아닙니다. 10세에 영국 체스 국가대표가 되었고, 15세엔 이미 국제 마스터(IM) 자격을 보유한 천재 체스 소년이었습니다. 하지만 그는 체스를 넘어 인간의 사고 구조, ‘지능이란 무엇인가?’에 매료되었고, 이 질문이 그의 삶 전체를 이끌게 됩니다.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컴퓨터공학을, 이후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UCL)에서는 뇌과학(신경과학)을 연구하며 인공지능과 인간 뇌의 구조 사이에 놀라운 유사성이 존재함을 발견하게 되죠. 2. 딥마인드의 탄생 – 뇌에서 배운 AI하사비스는 2010년 DeepMind(딥마인드)를 창업합니다.그의 철학은 단순한 딥러닝이 아닌, ‘인지 신경과학 기반의 AI’였고, 이는 곧 AI가 인간처럼 추.. 2025. 7. 7.
[Ep.01] 행동 인식 AI – 위험을 감지하는 미래의 눈 [AIㆍ인공지능] - [Ep.01] 행동 인식 AI – 위험을 감지하는 미래의 눈▣ 행동 인식 AI, 왜 지금 주목받는가?행동 인식 AI란 사람이나 사물의 움직임, 자세, 행동 패턴 등을 실시간으로 분석하여위험, 이상 상황, 특정 행위 등을 자동으로 감지하는 기술입니다.최근에는 보안·의료·스마트 팩토리·교육 등 다양한 분야에서 실전 도입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CCTV가 단순히 ‘촬영’만 하는 것이 아니라‘누가 넘어졌는지’, ‘폭력행위가 있었는지’, ‘작업자가 안전장비를 착용했는지’까지 자동으로 인식하는 시대입니다.▣ 어디에서 사용되고 있을까?스마트 시티 보안 시스템 공공 CCTV에서 실시간 폭력, 싸움, 쓰러짐, 침입 등을 감지 일본/싱가포르 등 도시 전체를 AI 감시망으로 .. 2025. 7. 6.
[CEO #9] 마크 저커버그 – 메타버스와 AI로 미래 소셜을 설계하다 1. 인물의 성장 스토리: 하버드의 해커, 소셜 네트워크의 설계자마크 저커버그(Mark Zuckerberg)는 1984년 미국 뉴욕에서 태어나, 어린 시절부터 컴퓨터 프로그래밍에 몰두했습니다.10대 시절 자신만의 메신저 프로그램 'ZuckNet'을 만들었고, 하버드 대학교 재학 중 SNS의 원형인 '페이스매쉬', '더페이스북'을 개발하면서 소셜 미디어 혁명의 시작을 알렸습니다.그는 20대에 세계 최연소 억만장자가 되었지만, 단순한 SNS 사업에 머무르지 않았습니다. 페이스북(Facebook)은 인스타그램, 왓츠앱을 인수하며 글로벌 커뮤니케이션 플랫폼으로 성장했고, 2021년 회사명을 '메타(Meta)'로 변경하며 AI와 메타버스 기반의 차세대 플랫폼 기업으로 진화하고 있습니다. "우리는 단지 더 많은 .. 2025. 7. 6.
[CEO #8] 리사 수 – AMD의 부활과 AI 반도체 전략의 설계자 1. 인물의 성장 스토리: 이민자 출신 여성 엔지니어의 반도체 여정리사 수(Lisa Su, 수즈즈)는 1969년 타이완에서 태어나 미국 뉴욕으로 이민 온 후, 어린 시절부터 전자공학에 깊은 관심을 보였습니다. 고등학교 시절엔 아버지의 영향으로 반도체에 관심을 가졌고, MIT에서 전기공학을 전공하며 박사까지 마쳤습니다. 이후 IBM, Freescale 등에서 시스템 반도체와 SoC 설계 전문가로 활약하며 업계에서 두각을 나타냈습니다.2012년 AMD에 합류한 그녀는 2014년 CEO에 선임되며 몰락 위기에 있던 회사를 구조조정과 기술 혁신으로 완벽하게 부활시켰습니다. 그녀는 전략가이자 기술자이며, AMD를 AI와 데이터 중심 시대의 핵심 반도체 기업으로 탈바꿈시킨 인물입니다. "기술의 진보는 사람들을 더.. 2025. 7. 5.
[CEO #7] 리드 헤이스팅스 – 창조적 알고리즘으로 콘텐츠 세상을 바꾸다 1. 인물의 성장 스토리: 수학 교사에서 글로벌 콘텐츠 리더로리드 헤이스팅스(Reed Hastings)는 미국 보스턴 출신으로, 수학을 전공하고 피스코 교육봉사단에서 아프리카에서 교사로 일하며 인생의 전환점을 맞았습니다. 이후 스탠퍼드 대학에서 컴퓨터공학 석사를 마친 그는, 1997년 '연체료 없는 DVD 대여 서비스'라는 발상으로 **넷플릭스(Netflix)**를 공동 창업하게 됩니다.당시만 해도 우편으로 DVD를 주고받는 작은 사업이었지만, 그는 기술과 알고리즘, 그리고 사용자의 '선택 경험'에 주목하며 회사를 끊임없이 진화시킵니다. 결국 넷플릭스는 스트리밍 플랫폼의 대명사이자, AI 기반 콘텐츠 추천의 선두주자로 자리매김하게 됩니다. "소비자는 무엇을 볼지 모른다. 우리는 그들을 이해하고 대신 제.. 2025. 7. 4.
[CEO #6] 사티아 나델라 – 협업의 마에스트로, AI로 세상을 연결하다 1. 인물의 성장 스토리: 인도 하이데라바드에서 마이크로소프트의 수장까지사티아 나델라(Satya Nadella)는 인도 하이데라바드에서 태어나 자랐으며, 어린 시절부터 컴퓨터 과학과 스포츠(특히 크리켓)에 큰 관심을 보였습니다. 망설임 없이 미국으로 유학을 떠나 위스콘신 대학에서 컴퓨터 과학 석사를, 시카고대학에서 MBA를 수료했습니다.1992년 마이크로소프트에 입사한 그는 클라우드 컴퓨팅 부문을 성공적으로 이끌며, 회사의 미래 방향성을 증명했습니다. 2014년 CEO로 선임된 이후 그는 단순한 경영자가 아닌, ‘변화의 지휘자’로 불릴 만큼 마이크로소프트의 정체성을 완전히 재정립했습니다."기술은 인간의 잠재력을 확장해야 한다." 2. AI 전략과 기술 추진 현황: 오픈AI, Copilot, Azure A.. 2025. 7. 3.
[CEO #5] 젠슨 황 – 실리콘의 제왕, GPU로 AI 세상을 이끌다 1. 인물의 성장 스토리: 타이완 이민자 소년, AI 혁명의 중심에 서다젠슨 황(Jensen Huang, 황젠슌)은 1963년 대만에서 태어나 9살에 미국으로 이민을 갑니다. 영어 한 마디 못한 채 미시시피주의 보딩스쿨에 맡겨졌던 어린 젠슨은, 이방인으로서의 고독을 극복하며 기술에 몰두하게 됩니다. 오리건주립대 전자공학 학위를 받고, 스탠퍼드에서 석사를 마친 후 AMD 등을 거쳐 1993년, 단 세 명과 함께 **엔비디아(NVIDIA)**를 공동 창업합니다.당시만 해도 게임 그래픽카드용 칩을 만들던 작은 기업이었지만, 그는 멀티미디어와 병렬처리의 가능성에 주목하며 GPU를 AI를 위한 뇌로 진화시킵니다. ‘GPU의 아버지’로 불리는 그는 엔비디아를 AI 산업의 핵심 인프라 기업으로 키워낸 실리콘의 제왕입.. 2025. 7. 2.
[CEO #4] 순다르 피차이 – 조용한 전략가, 구글의 AI 제국을 건설하다 1. 인물의 성장 스토리: 남인도 소년, 실리콘밸리의 지휘자가 되다순다르 피차이(Sundar Pichai)는 인도 타밀나두 주의 한 중산층 가정에서 태어났습니다. 전기가 자주 나가던 집에서 그는 아버지가 들려주는 기술 이야기와 수첩에 적어둔 숫자들을 보며 엔지니어의 꿈을 키웠습니다.IIT 카라그푸르에서 금속공학을 전공한 그는 이후 스탠퍼드 대학교에서 석사, 와튼스쿨에서 MBA를 수료하고 2004년 구글에 입사합니다. 처음엔 툴바 개발을 맡았고, 이후 크롬 브라우저를 총괄하며 큰 성공을 이끕니다.2015년 구글 CEO, 2019년 알파벳 CEO로 승진한 그는 조용하지만 강력한 리더십으로 구글의 AI 전환을 진두지휘하게 됩니다. "기술은 모두를 위한 것이어야 한다. 그것이 구글이 존재하는 이유다." 2... 2025. 7. 1.
[CEO #3] 일론 머스크 – 우주 너머 AI까지, 초지능을 꿈꾸는 남자 1. 인물의 성장 스토리: 호기심 많은 소년, AI 시대의 설계자가 되다일론 머스크(Elon Musk)는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태어났으며, 어린 시절부터 공상과학 소설과 컴퓨터에 몰두하던 아이였습니다.12살에 만든 비디오 게임을 팔아 수익을 낼 정도로 개발 능력을 갖췄고, 캐나다를 거쳐 미국 펜실베이니아대에서 경제학과 물리학을 전공했습니다.Zip2, X.com(후에 PayPal로 합병), SpaceX, Tesla, Neuralink, The Boring Company 등 수많은 혁신적 기업을 연쇄적으로 창업하며, '현실판 아이언맨'이라 불려왔습니다.그의 철학은 단순합니다."인류는 스스로를 초월해야만 살아남을 수 있다."AI 기술은 바로 그 초월의 열쇠 중 하나입니다. 2. AI 전략과 기술 추진 현황: 테.. 2025. 6. 30.
[CEO #2] 리옌훙 – 중국의 구글을 만든 남자, 바이두의 AI 실험실 이야기 1. 인물의 성장 스토리: 시골 소년, 글로벌 검색 제국의 주인공이 되다리옌훙(Robin Li)은 중국 산시성의 작은 도시에서 태어났습니다. 부모님은 둘 다 노동자였고, 책과 라디오가 유일한 지식 창구였던 시절, 리는 독학으로 컴퓨터와 인터넷에 눈을 뜨게 됩니다.1991년, 베이징대학교 정보관리학과를 졸업한 그는 뉴욕 주립대에서 컴퓨터 과학 석사를 마치고, 월가 소프트웨어 회사와 다우존스 등에서 검색엔진 기술을 개발했습니다. 그가 고안한 '링크 분석 알고리즘'은 훗날 구글의 PageRank와 유사하다는 평가를 받기도 했죠.2000년, 리옌훙은 귀국 후 바이두(Baidu)를 공동 창업하며, 중국 최초의 검색엔진 플랫폼을 세상에 내놓습니다. 이후 AI 기술을 중심으로 바이두를 다시 변신시키기 시작합니다."진.. 2025. 6. 29.

 

 

이 광고는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반응형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