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2026년 노인일자리 및 사회활동 지원사업 예산을 역대 최대 규모로 편성했습니다.
올해보다 약 7% 이상 증가한 1조 2천억 원대, 총 115만 개 일자리 창출 목표로,
그 방향이 단순 ‘양적 확대’가 아닌 ‘질적 전환’ 중심으로 옮겨가고 있습니다.

▣ 2026년 노인일자리 예산 주요 내용
- 총예산 규모: 약 1조 2,150억 원
- 일자리 수: 약 115만 개(2025년 대비 +5만 개)
- 운영 부처: 보건복지부, 고용노동부, 행정안전부 등
- 핵심 변화:
- 공익형 비중 축소 (기초생활 중심)
- 사회서비스형·경험활용형 확대
- 안전관리·직무교육 예산 별도 편성
📊 핵심 인사이트
“이제 노인일자리는 복지사업이 아니라,
시니어 세대의 경력형 사회참여 모델로 전환되고 있습니다.”
▣ 일자리 형태별 변화 구조
| 구분 | 2025년 | 2026년(계획) | 특징 |
| 공익형 | 74% | 68% | 환경정비·안전지킴이 등 기존형 감소 |
| 사회서비스형 | 14% | 18% | 돌봄·급식·상담 등 서비스형 확대 |
| 시장형 | 8% | 10% | 시니어클럽 중심 소규모 창업·판매형 |
| 취업알선형 | 4% | 4% | 민간 일자리 매칭 지속 강화 |
▣ 정책 기조 – “단순 근로에서 경력형 참여로”
보건복지부는 2026년을 ‘시니어 일자리 구조개편 원년’으로 명명하며,
단기 공익형 중심이던 구조에서 다음 세 가지 방향으로 전환 중입니다.
1️⃣ ‘일+학습+안전’ 3중 연계 체계 구축
- 안전교육·직무교육을 참여 전 필수과정으로 의무화.
- 디지털·회계·상담 등 경력형 직무 중심 전환.
2️⃣ ‘지자체-민간 연계형’ 구조 도입
- 지자체 주도의 사업단 운영과, 민간위탁을 통한 지역 수요형 일자리 창출 병행.
3️⃣ ‘성과 평가체계’ 신설
- 단순 고용 수보다 참여자의 만족도·성과지표(지속기간·건강지표 등) 반영 예정.
▣ 지역 사례 – 현장형 일자리 다양화
- 서울: 시니어클럽 중심 ‘스마트 상담단’, ‘에코마켓 운영단’ 신설
- 부산: 중장년 연계형 ‘도심 정비+디지털 홍보단’ 시범사업
- 광주: 문화재 안내·노후주택 안전점검단 등 특화사업 확대
- 인천: 1인 가구 방문 돌봄형 일자리 확충
💡 현장 포인트:
지역의 특성과 고령층 경력을 연결할수록,
일자리의 ‘질’과 ‘만족도’는 함께 높아집니다.
▣ 시니어 일자리의 다음 단계
| 과제 | 설명 |
| 안전관리 체계화 | 2025년 대비 안전사고 2배 증가 → ‘노인일자리법’ 후속 시행 필요 |
| 직무 전문성 강화 | 디지털·회계·돌봄 등 자격 기반 일자리 확대 |
| 지속 고용 구조 | 6개월 단위 공익형 → 1~2년 지속형 경력형 확대 |
| 데이터 관리 | 일자리 참여자 관리 시스템(시니어넷·일드림넷) 통합 추진 |
▣ 마무리
이제 시니어 일자리는 단순 근로가 아닌,
“삶의 경험을 사회적 가치로 전환하는 플랫폼”으로 진화하고 있습니다.
정부의 예산 확대는 단순히 일자리 숫자를 늘리는 것이 아니라,
시니어가 사회의 중심에 다시 설 수 있도록 하는 구조적 투자입니다.
코시팅(KST)은 앞으로도 예산·정책·현장 변화의 흐름을
가장 빠르고 실질적으로 전달드리며,
시니어분들이 ‘일을 통한 노후의 자립’을 이룰 수 있도록 돕겠습니다.
'K-시니어 디딤정보 > 정부 지원 정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노후생활 및 일자리 통계로 본 2025 한국 시니어 현실 (0) | 2025.11.05 |
|---|---|
| 고령층 계속근로 대응 전략 – 55세 이후, 일은 어떻게 달라져야 하나? (0) | 2025.11.04 |
| 실버산업 2025 – 기술이 이끄는 시니어 시장의 대전환 (0) | 2025.11.03 |
| 고령인구 19.5% 시대, 시니어 정책은 어디로 가야 하나? (0) | 2025.10.17 |
| 늘어나는 노인일자리 안전사고의 경고 – 성과 뒤의 그늘 (0) | 2025.10.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