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시니어 디딤정보/정부 지원 정책

실버산업 2025 – 기술이 이끄는 시니어 시장의 대전환

by 코시팅(K-Senior fighTing) 2025. 11. 3.

2025년 현재, 한국의 65세 이상 인구는 전체의 19.5%를 넘어섰습니다.

그만큼 ‘시니어’는 더 이상 복지의 대상이 아니라,
하나의 거대한 시장(Market) 으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노후의 삶이 “돌봄”에서 “활동과 선택”으로 바뀌면서,
실버산업은 지금 기술 중심의 대전환기를 맞이하고 있습니다.


실버산업 2025 – 기술이 이끄는 시니어 시장의 대전환 : 코시팅(KST)
실버산업 2025 – 기술이 이끄는 시니어 시장의 대전환 : 코시팅(KST)


▣ 실버가 ‘산업’이 되는 시대

통계청과 산업연구원에 따르면,
2025년 국내 실버산업 시장 규모는 약 140조 원,
2030년에는 210조 원을 돌파할 전망입니다.

이 성장은 단순히 고령층 인구 증가 때문만이 아닙니다.

  • 디지털 기기에 익숙한 ‘액티브 시니어(Active Senior)’ 세대의 부상,
  • 헬스케어·주거·여가 산업의 민간 기업 진출 확대,
  • 정부의 돌봄·건강·안전 중심 정책 강화,
    이 세 가지가 맞물리며 새로운 경제 생태계를 만들고 있습니다.

▣ 2025년 실버산업의 핵심 트렌드 (G.R.A.N.D.S 프레임)

글로벌 시장조사기관에서는 2025년 이후 실버산업을 이끌 6대 키워드로 G.R.A.N.D.S를 제시합니다.

코드 의미 주요 트렌드
G
(Green)
친환경·지속가능 주거 저탄소 실버주택, 스마트 단열 시스템,
고령자 맞춤형 에너지 절감 설비
R
(Robotics)
돌봄·간병 로봇 일본·한국에서 상용화 본격화.
국내에서는 유진로봇, 루토닉스,
고려대 산학협력단 주도
A
(AI)
인공지능 헬스케어 AI 기반 건강 모니터링·치매 조기진단,
SK텔레콤 ‘누구 케어콜’,
LG U+ ‘헬스뷰’ 실증 중
N
(Nutrition)
맞춤형 영양식 풀무원·CJ·대상 등에서 시니어 단백질식·연하식 출시,
병원식품을 가정용으로 확장
D
(Digital Service)
디지털 서비스 웨어러블 기기, 홈케어 플랫폼, AI 반려로봇
(삼성전자 ‘봇케어’, LG ‘클로이 케어봇’)
S
(Social Care)
사회적 돌봄 커뮤니티 케어, 지자체 간병지원사업,
마을 기반 시니어 커뮤니티 모델 확산

💡 핵심 인사이트:

실버산업은 단일 시장이 아니라 주거·헬스·식품·기술·돌봄이 융합된 복합산업으로 진화하고 있습니다.


▣ 시장별 성장 포인트

산업 분야 2024년
시장 규모
2025~2030
예상 성장률
주요 플레이어
실버 헬스케어 6.8조 원 연 12% LG전자, SK바이오팜, 닥터노아, 루닛
돌봄 로봇 1.9조 원 연 18% 유진로봇, 도요타, 소프트뱅크, 루토닉스
시니어 리빙 주거 9.4조 원 연 10% LH, 한화건설, 코지하우스, 삼성물산
웰니스식품·영양식 5.2조 원 연 14% CJ, 풀무원, 뉴트리션랩
디지털 돌봄 서비스 3.5조 원 연 20% LG U+, SKT, KT, 브이케어

📊 요약:

기술력 + 신뢰성 + 데이터가 결합된 기업이 앞으로 실버 시장의 주도권을 가져갈 가능성이 높습니다.


▣ 한국형 실버산업의 과제

  1. 규제 샌드박스의 한계
    •    헬스케어·로봇 분야는 의료법, 개인정보보호 규제로 확산이 더딤.
  2. 소비자 UX 설계 부족
    •    고령층 특성(시력·청력·인지력)에 맞춘 디자인·인터페이스 부족.
  3. 민간·공공 협력 부족
    •    기업은 기술 중심, 정부는 복지 중심으로 따로 움직임 → 연계 필요.
  4. 데이터 통합 인프라 미흡
    •    개인 건강·소비·생활 데이터를 통합 관리할 플랫폼 부재.

▣ 기회는 ‘융합’에서 나온다

  • 돌봄 로봇 + AI + 영양식 추천 서비스,
  • 스마트 주거 + 의료 모니터링 + 커뮤니티 케어,
    이처럼 분야 간 융합 모델이 향후 5년간 실버산업의 핵심 수익모델이 될 것입니다.

특히 LH·한화건설 등은 스마트홈과 고령자 맞춤형 임대주택을 결합한 ‘스마트 실버 리빙타운’ 모델을 개발 중이며,
SK텔레콤·LG U+는 헬스 데이터와 IoT를 연동해 시니어 케어 구독 서비스로 확장 중입니다.


▣ 마무리 – 시니어는 시장의 끝이 아니라, 미래의 출발점

실버산업의 성장은 단순히 고령자 복지를 위한 산업이 아닙니다.
그 안에는 건강관리, 주거, 금융, 교육, 여가, 기술이 모두 녹아 있습니다.

“고령사회는 곧 새로운 산업사회다.”
이제 시니어는 돌봄의 대상이 아니라 경제와 혁신의 주체로 등장하고 있습니다.

코시팅(KST)은 앞으로도 실버산업의 변화, 정책과 기업의 움직임을
‘시니어의 관점’에서 풀어내며, 시니어 디딤정보의 새로운 축을 만들어가겠습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광고는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