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겉보기엔 멀쩡한데 “불법입니다?"
건축물 거래나 리모델링을 준비할 때
“이 부분은 불법 증축이네요”라는 말을 듣는 경우가 많습니다.
☞ 불법 증축 여부는 겉모습만 봐선 알 수 없습니다.
☞ 법적 도면과 실제 상태를 비교해야만 판단이 가능합니다.
▣ 불법 증축의 정의
건축법에서 허가나 신고 없이 면적 또는 구조를 추가한 경우
주요 유형 :
- 허가 없이 층수 추가
- 옥상 위 컨테이너 설치
- 창고, 화장실, 발코니 등 외부공간 무단 확장
- 용도 변경 (예: 주택 → 상가)
☞ 신고되지 않은 면적이 생겼다면 대부분 불법 증축
▣ 불법 증축 여부 확인 방법
- 건축물대장 열람
- 시청, 구청 또는 정부24에서 가능
- 주요 정보: 층수, 면적, 용도, 구조 등
- 현황도 vs 대장 비교
- 건축사, 감정평가사 등을 통해 실측
- 도면과 실제 건물 비교해 면적·위치 불일치 여부 확인
- 도시계획 확인
- 해당 지역이 보전지역·개발제한구역 등인 경우
- 증축 불가 또는 제한 가능성 있음
▣ 불법 증축에 따른 불이익
- 이행강제금 : 위반 면적 × 단가 기준 연 2회 부과
- 사용승인 거부 : 추가 증축 불허
- 대출 제한 : 건물 전체 저당 설정 불가
- 매매 시 감가요인 : 실거래가와 대장 불일치 → 거래 지연
☞ 소규모 위반도 반복 시 누적 과태료 수백만 원 가능
▣ 불법 증축 대응 방법
① 자진 철거
- 가장 확실하고 법적으로 깔끔한 방법
- 이행강제금 면제 가능 (지자체 재량)
② 이행강제금 납부 후 유지
- 연 2회 납부 조건으로 유지 가능
- 단, 향후 정비사업·매각 등에서 걸림돌이 될 수 있음
③ 적법화 신청
- 가능한 범위 내에 용도 변경 및 허가 신청
- 건폐율·용적률 초과 시 불가
▣ 체크리스트
- 건축물대장과 실제 구조·면적이 일치하는가?
- 증축 부분이 허가 또는 신고 대상이었는가?
- 지자체에서 이미 단속·조사 이력이 있는가?
- 거래, 대출, 리모델링 시 불이익 요인은 없는가?
▣ 정리 요약
- 불법 증축은 신고되지 않은 면적의 존재
- 확인은 도면 vs 현황 비교로만 가능
- 적발 시 이행강제금 + 행정 제재 + 거래 불이익 발생
☞ 겉보기보다 서류가 더 중요합니다.
건축은 눈보다 도면을 먼저 봐야 하는 이유입니다.
반응형
'부동산 완전정복 > 건축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축 #9] 증축, 개축, 재건축의 차이와 절차 정리 (1) | 2025.07.16 |
---|---|
[건축 #8] 건축비는 얼마나 드나? 평당 단가 완전 해부 (1) | 2025.07.15 |
[건축 #7] 건축사 없이 건물 지을 수 있을까? (설계·감리 기준) (3) | 2025.07.14 |
[건축 #6] 신축하려면 무엇부터 시작해야 하나요? (건축허가 절차 총정리) (2) | 2025.07.13 |
[건축 #5] 조례 vs 건축법, 어떤 기준이 우선일까? (1) | 2025.07.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