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눈에 핵심
- 7월 비농업 신규고용 7만3천 명: 예상(≈10만 명) 대폭 하회, 5‧6월 합산 25만8천 명 하향 수정
- 실업률 4.2 %로 ↑, 시간당 임금 +0.3 % 유지 → “침체 징후+고물가” 스태그플레이션 우려 심화.
- S&P 500 –1.1 %, 나스닥 –1.4 %: 고용 쇼크+관세 불확실성, ‘고평가(선행 PER 23배) 조정’ 가속.
- Fed 인하 베팅 재점화: 9월 첫 금리인하 확률 50 %→73 %로 급상승(시카고연은 FedWatch).
- 정치 변수: 트럼프, “BLS 통계 문제” 이유로 인사 교체 시사 → 노동통계국 독립성 논란.
▣ ‘S 공포’가 무엇인가?
* 스태그플레이션(Stagflation)의 앞글자 ‘S’.
- 성장 둔화 시그널: 고용·제조업 PMI·소비심리 동반 약화.
- 물가 압박 요인: 트럼프발 15~25 % 관세, 원유 90 $ 근접.
- 결과: ‘저성장+고물가’ 조합 → 실질 구매력·기업 마진 동시에 잠식.
▣ 고용 세부 데이터
지표 | 7월 결과 | 예상치 | 이전치(6월) |
비농업 고용(천 명) | +73 | +110 | +133 (수정 전 +266) |
실업률(%) | 4.2 | 4.1 | 4.1 |
평균 시간당 임금 (MoM) |
+0.3 % | +0.3 % | +0.3 % |
※ 자료: 미 노동부(BLS)·Reuters
▣ 시장 반응 스냅숏
- 주식: S&P 500 5주 만에 최대 하락, 경기민감·기술주 동반 조정.
- 채권: 2년물 –11 bp(4.23 %), 10년물 –8 bp(3.95 %) ‘인하 베팅’.
- 달러: DXY +0.2 % (안전자산 선호).
- 원자재: WTI 89 $ 상단, 금 2,055 $ 재돌파.
▣ 투자 전략 시나리오
시나리오 | 거시·정책 이벤트 | 증시 톤 | 포트폴리오 아이디어 |
연준 인하 + 관세 휴전 |
9월 25 bp 인하, 15 % 관세 절충 |
위험선호 회복 | M7·AI 반도체 ETF 유지 + 국채 듀레이션 5년 |
인하 지연 + 고율 관세 |
9월 동결, 25 % 전면 발효 |
변동성 확대 | 방어주·커버드콜·골드·달러 ETF |
인하·관세 모두 지연 |
매파 코멘트 + 협상 교착 |
관망·순환매 | 배당가치·현금 20 % 이상 확보 |
'투자 인사이트 > 글로벌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250729) 미·중 고위급 스톡홀름 회담, 트럼프 “금리 3%p↓” (3) | 2025.07.29 |
---|---|
(250728) 美·EU 15 % 관세 협상 타결, 다음 순서는 韓·中 (3) | 2025.07.28 |
(250725) ECB 기준금리 2% 동결과 트럼프-파월 회동 (7) | 2025.07.25 |
(250724) 미·EU·일 관세 협상과 알파벳·테슬라 실적 변수 체크 (7) | 2025.07.24 |
(2025.07) 글로벌 경기 사이클에 따른 자산 흐름 시나리오 (1) | 2025.07.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