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눈에 핵심
- 미·중 3차 회담(스톡홀름):
양측, 8 월 12 일 ‘관세 휴전 90일 연장’ 타결 임박. 기술·농산물 분야 세부 조율만 남은 상태. - 트럼프 “파월, 금리 3%-포인트 더 내려야”:
스코틀랜드 공동 기자회견에서 재차 압박, 연준 독립성 논란 재점화. - S&P 500·나스닥 사상 최고치 경신:
선행 PER 23배(10년 평균 18.6배 대비 +24%). “고평가+호재 선반영” 구간. - 이번 주 변수 3重 교차:
① FOMC(7/30) ② M7 실적 시즌 개막 ③ 미·EU 합의 후 한·미·중 관세 타임라인.
▣ 미·중 스톡홀름 회담 – 무엇이 남았나?
쟁점 | 美 요구 | 中 요구 | 진척도 |
관세 휴전 | 90 일 추가 연장 | 휴전 + 일부 품목 관세 철폐 | 80 % 합의 |
기술 수출 규제 | AI·반도체 장비 허가제 유지 | 규제 완화·라이선스 확대 | 60 % |
농산물 구매 | 연 400 억 $ 고정 | 유연한 물량·가격 | 75 % |
환율 투명성 | 위안화 변동성 관리 | ‘조작국’ 해제 | 70 % |
☞ 8 월 12 일 데드라인 전 서명 목표
▣ 트럼프의 ‘3%p 인하’ 발언 – 시장 의미
- 배경: 5 월 이후 실질금리 반등·달러 강세로 제조업 PMI 둔화.
- 정치적 계산: 2026 년 중간선거 전 성장세 부양 카드.
- 시장 시그널: “연준 독립성 흔들기” 우려 → 장단기 금리 스프레드 일시 축소 후 재확대.
▣ 증시 밸류에이션 리스크
- S&P 500 선행 PER 23.1배(5개월 최고). 역사적 밴드 상단 접근.
- 과거 PER ≥ 22배 구간 이후 12개월 평균 수익률 +0.5%(1960~2024 데이터).
- 헤지펀드 동향: 기술주 롱 포지션 축소, 필수소비재로 로테이션.
▣ 오늘장 전략 체크리스트
시나리오 | 거시 / 무역 이벤트 | 증시 심리 |
휴전 연장 + FOMC ‘동결·비둘기’ |
위험선호 회복 | M7·AI 반도체 ETF 지속 보유 |
휴전 연장 + FOMC ‘동결·매파’ |
변동성 증가 | 성장주 일부 차익, 커버드콜 |
휴전 결렬 or FOMC ‘긴축’ |
위험회피 급증 | 달러·단기국채·골드 ETF, 방어주 |
반응형
'투자 인사이트 > 글로벌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250728) 美·EU 15 % 관세 협상 타결, 다음 순서는 韓·中 (1) | 2025.07.28 |
---|---|
(250725) ECB 기준금리 2% 동결과 트럼프-파월 회동 (4) | 2025.07.25 |
(250724) 미·EU·일 관세 협상과 알파벳·테슬라 실적 변수 체크 (6) | 2025.07.24 |
(2025.07) 글로벌 경기 사이클에 따른 자산 흐름 시나리오 (1) | 2025.07.02 |
(2025.07) 달러 자산 보유 비중, 얼마나 가져가야 하나? (0) | 2025.07.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