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눈에 핵심
- 美·EU, 15 % 균일 관세 전격 합의: 8 월 1 일 유예 만료 직전 정상급 담판으로 ‘전면전’ 회피
- 전략적 품목(항공기·반도체 장비 등) 무관세 + EU의 미국산 에너지 7,500 억 달러 구매 약속
- 데드라인 남은 협상: 7 월 28~29 일 미·중 3차 회담, 7 월 31 일 한·미 2+2 통상협의 예정
- 이번 주 빅 이벤트: Fed 금리 동결 컨센서스, 8 월 1 일 추가 관세 발표 여부, M7(Apple·Microsoft·Amazon·Meta) 실적 시작
- 시장 포지셔닝: S&P 500 선행 PER ≈ 22배로 고평가 구간, ‘호재 선반영→실망 조정’ 경계 필요
▣ 美·EU 15 % 관세 합의
- 균일 15 %: 자동차·산업재·농산물 일괄 적용으로 불확실성 제거.
- 무관세 품목: 항공기·항공부품, 특정 화학·바이오·반도체 장비.
- EU 양보: 향후 3 년간 7,500 억 달러 에너지 구매 + 6,000 억 달러 對美 투자.
- 논쟁 지점: 철강‧알루미늄은 현행 50 % 고율 유지, 의약품 세부 적용 여부 해석 차이.
▣ D-4 데드라인 체크리스트
날짜 | 이벤트 | 관세 레벨 리스크 | 주식시장 민감 섹터 |
7 / 28–29 | 미·중 고위급 3차 회담 | 100%→15 % 휴전 연장? |
반도체, 원자재 |
7 / 31 | 한·미 2+2 통상협의 | 자동차 12.5 % → 15 % 고정 가능성 |
자동차, 배터리 |
8 / 1 | 美 추가 관세 발효 시한 | 30 % 고율 카드 발효 or 유예 |
전 섹터 위험 선호 |
▣ M7 실적 프리뷰
- Apple·Microsoft·Amazon·Meta 발표 예정: AI CAPEX, 광고·클라우드 성장률에 주목.
- FactSet 컨센서스: M7 2Q 순이익 YoY +14 % vs S&P 500 비(非)M7 +3 %, ‘기대치 높은 상태’
- 고평가 구간에서 컨센서스 미달 시 ‘숫자 쇼크 → 지수 변동성’ 강화 우려.
▣ 시장 시나리오별 투자 전략
시나리오 | 관세 진행 / 거시 이벤트 | 증시 심리 | 대응 아이디어 |
저율 안착 | EU·중·한 모두 15 % 내 합의 + Fed 동결 |
위험선호 회복 | M7 + AI 반도체 ETF 비중 유지 |
유예 연장 | 15–20 % 관세 유지 + 11 월 까지 휴전 |
변동성 지속 | 방어주 혼합, 커버드콜 전략 |
고율 발효 | 20–30 % 관세 + Fed 긴축 경계 |
위험회피 ↑ | 현금·달러자산· 단기국채 ETF |
반응형
'투자 인사이트 > 글로벌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250729) 미·중 고위급 스톡홀름 회담, 트럼프 “금리 3%p↓” (1) | 2025.07.29 |
---|---|
(250725) ECB 기준금리 2% 동결과 트럼프-파월 회동 (4) | 2025.07.25 |
(250724) 미·EU·일 관세 협상과 알파벳·테슬라 실적 변수 체크 (6) | 2025.07.24 |
(2025.07) 글로벌 경기 사이클에 따른 자산 흐름 시나리오 (1) | 2025.07.02 |
(2025.07) 달러 자산 보유 비중, 얼마나 가져가야 하나? (0) | 2025.07.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