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동산 완전정복60

[부동산세금 #6] 증여세와 상속세, 집을 미리 넘길수록 유리할까? ‘증여’와 ‘상속’, 뭐가 다를까?증여 : 살아 있을 때 무상으로 자산을 넘기는 것상속 : 사망 이후 재산이 자동으로 이전되는 것☞ 세금 기준도, 공제 방식도 다릅니다.☞ 핵심은 어떻게 넘기느냐보다 ‘언제’ 넘기느냐가 더 중요합니다.▣ 1. 증여세는 얼마부터 낼까? (2024년 기준) 구분 10년간 증여공제 부모 → 자녀 (성인)5,000만 원부모 → 자녀 (미성년)2,000만 원배우자 간6억 원기타 친족1천만 원√ 공제 금액 초과분에 대해 누진세율(10~50%) 적용√ 10년 이내 증여받은 금액은 합산 과세됨▣ 2. 상속세는 어떻게 계산될까?전체 상속재산에서 일괄공제(5억) + 배우자 공제 + 기타 공제를 뺀 뒤 → 과세표준 산출세율은 10~50% 누진세율로 적용되며, 증여보다 공제 범위는 넓지만 .. 2025. 7. 15.
[단지내상가 #7] 유치권, 전대차, 불법용도변경… 법적 리스크 점검 이런 법적 리스크, 투자자들이 놓치기 쉽습니다"권리금까지 주고 상가 인수했는데, 나중에 보니 불법 증축이라 영업정지 당했습니다.""좋은 자리에 싸게 나왔길래 샀는데, 알고 보니 유치권 행사 중이었습니다."단지 내 상가는 안정적으로 보이지만,매입 전 법적 리스크 확인은 필수 절차입니다.▣ 1. 유치권 – 공사대금 미지급 시 발생하는 점유 권리정의: 공사업체가 공사비를 받지 못했을 경우, 상가에 대해 **점유권(출입 통제 등)**을 주장할 수 있는 권리발생 시점: 주로 분양 직후 또는 건설사 자금 문제 발생 시위험 요소: 매입 후 실제 사용이 제한될 수 있음√ 등기부등본과 별개로 확인 필요.☞ 현장 점검과 분양사 시공사 확인 필수▣ 2. 전대차 – 세입자가 다시 세입자를 들인 구조정의: 원 임차인이 무단으.. 2025. 7. 15.
[청약·입주 #7] 사전점검, 하자보수 신청부터 체크리스트까지 입주 전에 꼭 해야 할 ‘현장 실사’청약에 당첨되고, 중도금과 잔금까지 잘 마쳤다면이제 입주를 앞두고 마지막 점검 단계가 남았습니다.바로 ‘사전점검’입니다.☞ 이 단계에서 놓치면 하자 보수 청구도 늦어지고, 입주 후 분쟁의 원인이 됩니다. 무조건 직접 방문해서 확인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사전점검이란?입주 예정자들이 건설사로부터 집을 인도받기 전,실제 집 상태를 확인하고,하자나 미비점을 발견해 건설사에 보수를 요청할 수 있는 절차입니다.일반적으로 입주 1~2개월 전 시행되며,건설사나 조합이 날짜와 시간, 동·호수를 안내합니다.▣ 현장에서는 무엇을 점검해야 할까?다음은 꼭 체크해야 할 실전 점검 항목입니다. 구역 점검 항목 현관디지털 도어록 작동 여부, 문틀 흔들림거실바닥 긁힘, 벽지·도장 마감 상태주방.. 2025. 7. 15.
[건축 #8] 건축비는 얼마나 드나? 평당 단가 완전 해부 평당 얼마? 이 질문부터 다시 생각해야 한다건축 현장에서 자주 듣는 질문입니다.“요즘 평당 얼마인가요?”☞ 하지만 이 질문에는 두 가지 착오가 있습니다.무엇이 포함된 평당인가? (설계? 외장재? 마감?)무엇을 기준으로 계산한 평당인가? (건축면적? 연면적?)건축비를 제대로 이해하려면단순 평당 금액이 아닌 구성요소 전체를 먼저 알아야 합니다.▣ 건축비는 이렇게 나뉜다설계비건축사 설계비, 구조·전기·소방 설계 포함보통 전체 건축비의 5~10% 수준인허가 및 세금비용건축허가, 사용승인, 등록세, 취득세 등현장 위치에 따라 편차 큼공사비토목공사 (기초, 옹벽 등)골조공사 (철근·콘크리트·목조 등)마감공사 (창호, 도장, 바닥재 등)기타비용감리비, 중간정산금, 설비 설치비조경, 담장, 주차장 등 외부 부대공사☞ .. 2025. 7. 15.
[부동산세금 #5] 종합부동산세, 나도 대상일까? (기준과 대응 전략) ‘재산세랑 뭐가 달라요?’ – 종부세의 정체재산세는 각 부동산별로 개별 부과되는 세금이고,종부세는 개인이 보유한 전국 주택(또는 토지 등)의 합산 금액이기준을 초과하면 별도로 부과되는 중복 세금입니다.☞ 즉, 재산세 내고 끝난 줄 알았는데 보유 자산 총합이 일정 기준 넘으면 종부세도 따로 나옵니다.▣ 1. 종부세 과세 기준 요약 구분 기준금액 대상 1세대 1주택자공시가격 12억 원 초과주택 합산다주택자·법인공시가격 6억 원 초과합산 기준 강화됨√ 다주택자는 조정지역 여부, 주택 수에 따라 중과세율 적용√ 상가, 토지는 별도 과세 (종합합산 vs 별도합산)▣ 2. 공시가격 기준? 실거래가 아님?네, 종부세는 실거래가가 아닌 공시가격 기준입니다.2024년 기준, 공동주택의 공시가격은 실거래가의 60~70.. 2025. 7. 14.
[단지내상가 #6] 상가 권리금, 무조건 피해야 할까? 합리적 판단 기준 권리금, 사라진 게 아니라 ‘진화’했다예전엔 권리금 하면 무조건 부정적인 이미지였지만,지금은 상가 가치의 일부로 자연스럽게 포함되는 경우가 많습니다.문제는 ‘합리적’이냐, ‘부풀려진 거품’이냐입니다.▣ 권리금의 종류, 정확히 알아두자 구분 내용시설권리금인테리어, 집기류 등 설비에 대한 대가영업권리금장소·상권에서 누적된 매출 기반의 기대 수익바닥권리금별도 시설 없이도 상가 자체 가치로 형성된 권리금☞ 투자자는 이 권리금이 '왜 붙었는지'의 논리를 따져야 합니다.감정이 아닌 수익성과 구조로 판단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무조건 피해야 할 권리금 3가지매출 실적 없이 “자리값”만 주장하는 경우임대차 계약 갱신기한이 얼마 남지 않은 상가입지 분석이 안 된 소규모 유동상가 (골목형) √ ‘권리금 = 손해’가 아.. 2025. 7. 14.
반응형